[돈이 되는 경제지표]
[한경비즈니스=최은석 기자]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하면서 안전 자산인 금과 함께 대체재 성격의 은값도 상승세다. 지난 8월 14일 기준 국제 은값은 온스당 17.25달러(2만962원)로, 지난해 6월 14일 17.23달러 이후 1년여 만에 최고로 올랐다.
은은 산업용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본질적으로 화폐적 속성이 강해 금의 대체재로 인식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금값과 은값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은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자산가들에게 주목받지 못했다. 국제 은 시세가 L자형 곡선을 그리며 하락해 왔기 때문이다. 2011년 온스당 40달러(4만9000원) 선이던 은값은 지난해 하반기 13달러(1만6000원) 선까지 추락했다.
하지만 은값이 떨어질 대로 떨어져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부터 분위기가 바뀌었다. 여기에 미·중 무역 분쟁 등 최근의 불안정한 국제 정세가 은값 상승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다.
국내 은값도 강세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월 3.75g(1돈)당 2200원대에 거래되던 은은 8월 13일 기준 2820원으로 껑충 뛰었다. 국내 증권·부동산 시장의 동반 침체에 따라 은을 금의 대체 투자처로 삼으려는 심리가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은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시세가 급등하긴 했지만 아직 금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금과 은의 교환비율(금값이 은의 몇 배인지 계산한 비율)은 88배 수준으로 은은 금에 비해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며 “은값은 올해 말까지 온스당 약 20달러(10년 평균) 선까지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에 이어 각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앞다퉈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는 점도 은값 추가 상승의 동력으로 꼽힌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시장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됐다는 점이 앞으로도 귀금속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은값은 향후 6개월 안에 20% 이상 상승해 온스당 20달러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해시태그 경제 용어] 분양가 상한제
#서울집값들썩 #부동산추가규제카드 #실수요자에겐호재 #공급감소에따른부작용우려도
분양가 상한제는 주택을 분양할 때 택지비와 건축비 등을 합산해 분양 가격을 산정하고 그 가격 이하로 분양하도록 정한 제도를 뜻한다.
정부는 최근 ‘9·13 부동산 안정 대책’ 이후 11개월 만에 부동산 규제책을 또다시 내놓았다. 9·13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 6월부터 서울 집값이 들썩이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라는 추가 규제 카드를 꺼낸 것이다.
정부는 오는 10월부터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광명시, 하남시, 대구 수성구, 세종시 등 전국 31개 투기과열지구의 민간 택지에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단지의 분양가 상한제 적용 시점도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 단계로 일원화한다.
정부가 분양가 규제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넷째다. 집값 상승을 이유로 1983년 이후 총 세 차례 분양가 규제책을 도입했다가 하락기에 다시 폐지하는 ‘조였다 풀기’ 정책을 반복했다.
정부의 이번 규제로 서울 중심의 집값 상승세가 꺾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전셋값이 불안정해지고 신축 아파트 가격은 오히려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분양 수익이 줄어드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멈춰서면 새 아파트의 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choies@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38호(2019.08.19 ~ 2019.08.25) 기사입니다.]
[한경비즈니스=최은석 기자] 미·중 무역 분쟁이 격화하면서 안전 자산인 금과 함께 대체재 성격의 은값도 상승세다. 지난 8월 14일 기준 국제 은값은 온스당 17.25달러(2만962원)로, 지난해 6월 14일 17.23달러 이후 1년여 만에 최고로 올랐다.
은은 산업용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본질적으로 화폐적 속성이 강해 금의 대체재로 인식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금값과 은값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은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자산가들에게 주목받지 못했다. 국제 은 시세가 L자형 곡선을 그리며 하락해 왔기 때문이다. 2011년 온스당 40달러(4만9000원) 선이던 은값은 지난해 하반기 13달러(1만6000원) 선까지 추락했다.
하지만 은값이 떨어질 대로 떨어져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부터 분위기가 바뀌었다. 여기에 미·중 무역 분쟁 등 최근의 불안정한 국제 정세가 은값 상승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다.
국내 은값도 강세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월 3.75g(1돈)당 2200원대에 거래되던 은은 8월 13일 기준 2820원으로 껑충 뛰었다. 국내 증권·부동산 시장의 동반 침체에 따라 은을 금의 대체 투자처로 삼으려는 심리가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은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시세가 급등하긴 했지만 아직 금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금과 은의 교환비율(금값이 은의 몇 배인지 계산한 비율)은 88배 수준으로 은은 금에 비해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며 “은값은 올해 말까지 온스당 약 20달러(10년 평균) 선까지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에 이어 각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앞다퉈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는 점도 은값 추가 상승의 동력으로 꼽힌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시장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됐다는 점이 앞으로도 귀금속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은값은 향후 6개월 안에 20% 이상 상승해 온스당 20달러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해시태그 경제 용어] 분양가 상한제
#서울집값들썩 #부동산추가규제카드 #실수요자에겐호재 #공급감소에따른부작용우려도
분양가 상한제는 주택을 분양할 때 택지비와 건축비 등을 합산해 분양 가격을 산정하고 그 가격 이하로 분양하도록 정한 제도를 뜻한다.
정부는 최근 ‘9·13 부동산 안정 대책’ 이후 11개월 만에 부동산 규제책을 또다시 내놓았다. 9·13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 6월부터 서울 집값이 들썩이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라는 추가 규제 카드를 꺼낸 것이다.
정부는 오는 10월부터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광명시, 하남시, 대구 수성구, 세종시 등 전국 31개 투기과열지구의 민간 택지에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단지의 분양가 상한제 적용 시점도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 단계로 일원화한다.
정부가 분양가 규제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넷째다. 집값 상승을 이유로 1983년 이후 총 세 차례 분양가 규제책을 도입했다가 하락기에 다시 폐지하는 ‘조였다 풀기’ 정책을 반복했다.
정부의 이번 규제로 서울 중심의 집값 상승세가 꺾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전셋값이 불안정해지고 신축 아파트 가격은 오히려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분양 수익이 줄어드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멈춰서면 새 아파트의 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choies@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38호(2019.08.19 ~ 2019.08.25)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