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신용카드처럼…급부상하는 ‘카 커머스’ 시장

-GS칼텍스 비대면 주유 서비스 본격 개시…현대차도 신차에 ‘카페이’ 탑재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한 운전자가 자동차를 몰고 주유소에 들어섰다. 그런데 직원의 고객 대응 방식이 다소 낯설다. 기름을 얼마나 넣을지 묻지도 않은 채 바로 주유를 시작한다.

주유를 마친 후 손짓으로 ‘가도 좋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를 본 운전자는 유유히 주유소를 빠져나간다. 운전자는 창문을 내리지도 않았고 주유를 마치고 주유소를 나갈 때까지 직원과 아무런 대화도 나누지 않았다.

최근 GS칼텍스가 운영하는 주유소에서 종종 목격할 수 있는 모습이다. 운전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미리 주유소·유종·주유량을 선택한 후 주유소를 방문한다. 주유소 직원은 이 정보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아무런 접촉 없이 주유를 마친다. 주유가 완료되면 앱에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로 자동 결제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큰 변화가 생긴 것 중 하나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상품 구매 방식이다.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일상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언택트(비대면) 소비’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이런 비대면 소비 방식 중 하나로 최근 운송 수단인 자동차가 결제 시스템 역할을 하는 이른바 ‘카 커머스’ 시장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창문 내리지 않고도 주유하고 결제까지 끝


카 커머스란 이동 수단인 차량을 마치 신용카드처럼 활용하는 것이다. 탑승자와 차량 정보를 연계해 원하는 서비스와 결제가 자동으로 이뤄진다. 이미 수년 전부터 관련 서비스들이 상용화됐지만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소비 확산으로 급격하게 주목도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앞서 언급했던 사례처럼 실제로 이를 활용하면 클릭 몇 번만으로도 편하게 비대면으로 주유를 마치고 나올 수 있다.

최근 곳곳에서 늘어나고 있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도 마찬가지다. 보통 드라이브 스루 형태의 매장은 상품 주문과 수령, 결제 등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카 커머스를 활용하면 주문과 결제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앱에서 원하는 메뉴를 입력하고 수령만 하면 된다. 보다 빠르고 접촉을 최소화면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줄을 서서 따로 통행증을 뽑거나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기만 하면 되는 고속도로 ‘하이패스’를 실생활로 확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 커머스 시장은 2015년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때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가 계기가 됐다. 당시 행사에 참석한 비자카드와 피자헛, 컨설팅 업체인 엑센츄어가 ‘차내 결제 서비스(in car payment service)’의 개념을 처음 선보이면서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2017년부터 서서히 이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고객 편의를 증대하기 위해 GS칼텍스가 비대면 주유 시스템을 선보인 것이다.

당시 GS칼텍스는 ‘커넥티드카 커머스’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 제공하는 스타트업 ‘오윈’과 손잡고 이를 시범 도입했다. 오윈이 직접 개발한 앱과 자사 주유소를 연계해 이를 구현해 냈다.

◆코로나19 계기로 활성화 움직임


GS칼텍스는 오윈과 그간 준비 기간을 거쳐 마침내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최근 크게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GS칼텍스에 따르면 비대면 주유·결제 서비스의 월 이용 건수는 올해 3월 기준 기존 대비 10배 이상 증가하며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현재 330여 곳에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향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주유소를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에는 현대차가 카 커머스 시장에 발을 내디뎠다. 현대차는 지난해 출시한 제네시스 브랜드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80를 선보이면서 ‘현대 카페이(Carpay, In-Car Payment)’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결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이후 출시한 제네시스 G80, 현대차 아반떼, 기아차 쏘렌토 등 신차에도 카페이 기능을 넣어 출시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수석부회장은 향후 현대차를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종합적인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카페이 시스템을 최근 출시하는 신차마다 탑재해 선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현대차는 이 서비스를 상용화하기 위해 무인 주차장 관리 업체 아이파킹 운영사인 파킹클라우드·SK에너지(SK주유소)와 손을 잡았다. 브랜드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앱(현대차 블루링크, 기아차 UVO, 제네시스 커넥티드)에 먼저 가입한 뒤 통합으로 운영하는 카페이를 다운받고 카드 정보를 등록하면 사용할 수 있다.

아직은 카 커머스의 활성화를 논하기엔 갈 길이 먼 단계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생활에서 유용하다고 느낄 정도로 편하게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금융회사를 포함한 관련 기업들 간의 ‘업무 협약’이 필수로 이뤄져야 한다.

원활한 서비스 제공과 결제를 위한 협약 없이는 서비스를 활용하는 데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현대차 역시 아직은 함께 손잡은 업체(파킹클라우드·SK주유소)가 운영하는 일부 사업장에서만 비대면 주차·주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한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 카 커머스 시장이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급격히 떠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enyou@hankyung.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280호(2020.06.06 ~ 2020.06.12) 기사입니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