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변의 전자 제품은 대부분이 실리콘 반도체나 구리 따위의 금속재료 같은 무기물질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생체 안에서 생명력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인 유기물질은 오랫동안 전자재료로 사용되지 않았다. 유기물질은 무기물질처럼 전류가 흐를 수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1950년대부터 화학자들은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 곧 유기화합물도 탄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화합물인 무기화합물처럼 전도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전도성 같은 전기적 특성을 지닌 유기물질을 연구하는 재료과학, 곧 유기전자공학(organic electronics)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유기전자공학 초창기의 최대 성과는 전도성 플라스틱(conductive plastic)의 발견이다. 플라스틱이지만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전도성 플라스틱의 발견을 계기로 유기전자공학이 획기적으로 발전한다.
유기전자공학의 2대 중점 분야는 디스플레이 기술과 태양전지 기술이다. 유기디스플레이 기술은 유기발광다이오드, 곧 OLED를 사용한다.
OLED는 전류를 흘려주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화합물 반도체다. 유기전자공학의 둘째 핵심 연구 분야는 유기태양전지(OPV)다. 유기 소재는 실리콘 같은 무기 소재에 비해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유기전자공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다른 연구 분야는 나노 기술의 핵심인 탄소 기반의 나노 물질, 곧 탄소 나노튜브와 그래핀이다.
탄소 나노튜브는 튼튼하고 끊어지지 않고 잘 휘어지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고 반도체의 성질도 나타내기 때문에 전자 소재로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 그래핀 역시 탄소 나노튜브 못지않은 특성을 갖고 있다.
유기 전자 소재는 실리콘 같은 무기 전자 소재와 달리 가볍고 구부러질 수 있고 더 저렴하므로 인공 피부(artificial skin)나 각종 센서, 특히 바이오센서(biosensor) 개발에 활용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