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에세이] 빅 데이터 분석과 힘의 이동

모래 속에서 반짝거리는 사금을 찾아내는 것과 같이 대규모의 정형 혹은 비정형 데이터 속에서 주어진 비즈니스 상황과 맥락에 유효한 정보를 걸러내는 것이 바로 핵심이다.


벌써 수년 전의 일이다. 스마트폰·태블릿 PC 등 새로운 정보기술(IT)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IT 생태계는 커다란 전환점을 맞았다. 스마트 기기를 통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일상·취향·가치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세상이 도래했다. 새로운 정보 생성 주기가 혁신적으로 짧아졌고 정보의 양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이렇게 데이터센터에 차곡차곡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가 새로운 ‘가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른바 ‘빅 데이터’ 시대의 거대한 포문이 열린 것이다.

그러나 사실 빅 데이터는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정보화 시대가 시작되면서, 혹은 그 이전부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술은 늘 존재해 왔다. 그렇다면 우리는 빅 데이터가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이유를 다시 한 번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기술적인 관점에 머물러 있던 빅 데이터에 대한 시선을 활용적인 관점으로 한 번 옮겨보자.

최근 수많은 관공서와 기업들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빅 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빅 데이터를 도입한 목적은 단순히 방대한 양의 정보 축적에만 있는 게 아니다. 모래 속에서 반짝거리는 사금을 찾아내는 것과 같이 대규모의 정형 혹은 비정형 데이터 속에서 주어진 비즈니스 상황과 맥락에 유효한 정보를 걸러내는 것이 바로 핵심이다. 이것이 빅 데이터가 도출하는 진정한 가치이며 ‘빅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다.

지난해 ‘정부 3.0’이 출범함에 따라 다양한 공공 기관이 빅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도입했다. 빅 데이터를 통한 SNS 키워드 분석을 정책 집행에 적용하거나 부처별 예산 관리 등에 빅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행정 분야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 더욱이 데이터 시각화(visualization) 솔루션은 비전문가도 쉽게 빅 데이터 분석 결과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공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부처 간 소통의 장벽을 없앤다는 정부 3.0의 기반을 확충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공공 기관 외에도 금융이나 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빅 데이터 분석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방대한 양의 거래 내역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기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고 유통에서는 최적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고객 분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 이상 단순 예측이나 경험에 의존하던 의사결정 방식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졌다. 시대를 움직이고 현재를 이끄는 ‘힘’의 축이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몇 년간 빅 데이터 분석은 공공·금융·제조·의료 등 다양한 분야로 그 세력을 확장했다. 그리고 올해부터는 그 구체적인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 데이터 분석의 힘은 점점 더 일상으로 스며들고 있다. 빅 데이터 시대를 이해하는 핵심은 이를 목적이 아닌 더 나은 비즈니스와 라이프를 위한 수단이자 도구로 이해하는 것이다. 빅 데이터 분석이 발휘하는 일상의 가치. 이 시대를 살기 위한 ‘앎의 힘(the power to know)’은 바로 그곳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조성식 SAS코리아 대표
1952년생. 고려대 물리학·컴퓨터공학과 졸업. 미국 일렉트로 닉데이터시스템(EDS) 프로젝트 매니저. 현대정보기술 이사. LG-EDS 상무. SAP코리아 부사장. 한국통계학회 부회장(현). 한국경영과학회 부회장(현). 2004년 SAS코리아 사장(현).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