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임금 혁명_직장인 500인 설문 조사] “임금 피크제 도입 필요하다” 78.4%
입력 2014-03-20 17:22:48
수정 2014-03-20 17:22:48
수용할 수 있는 임금 감소 폭은 10~20%로 경총 안과 큰 차이
대다수의 한국 직장인은 임금 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비즈니스가 전국 직장인 50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78.4%가 임금 피크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수용 가능한 임금 감소 수준은 10~20%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제시한 40~50%와 큰 격차를 보였다. 향후 이를 둘러싼 갈등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정년 연장을 위한 임금체계 개편에도 많은 응답자가 찬성표를 던졌다.이번 설문 조사는 3월 5일 서울 등 전국 광역자치단체에 거주하는 남녀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패널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연령대별 분석을 위해 20~50대까지 응답자를 고르게 했다.
“임금 피크제 도입 늘 것” 83.8%
먼저 2월 27일 삼성전자의 임금 피크제 도입이 다른 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물었다. 응답자의 83.8%(‘도입 늘어날 것’, ‘도입 크게 늘어날 것’ 포함)가 삼성전자를 계기로 임금 피크제가 확산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향이 없을 것’과 ‘전혀 영향이 없을 것’은 각각 7.4%와 2.0%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와 50대가 ‘삼성전자 효과’를 더 높게 평가했다. 20대와 30대는 ‘도입 늘어날 것’이 53.6%, 58.4%로 가장 많았지만 40대와 50대는 ‘도입 크게 늘어날 것’이 48.8%, 45.6%로 가장 많았다.
임금 피크제 도입 필요성에는 대체로 공감했다. ‘필요(53.6%)’, ‘매우 필요(24.8%)’ 등 찬성 입장이 78.4%에 달했다. 임금 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왔지만 온도차도 발견됐다. 20대(75.2%)와 30대(72.8%)보다 40대(80.8%)와 50대(84.8%)의 찬성률(‘필요’, ‘매우 필요’ 포함)이 더 높았다. 직종별 분석도 흥미롭다. 경영·관리직은 찬성이 85.9%로 압도적이었지만 기능·작업직은 반대 의견도 18.5%나 됐다.
임금 피크제가 필요한 이유로는 ‘계속 고용 보장’이 6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건비 부담 감소(17.2%)’, ‘신규 인력 채용 가능(13.4%)’, ‘성장 잠재력 유지(6.4%)’순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유사한 응답 패턴을 보였고 20대는 신규 인력 채용에, 50대는 인건비 부담 감소에 상대적으로 더 큰 관심을 보였다.
임금 피크제가 불필요한 이유를 들어달라는 질문에는 ‘임금 하향 평준화(32.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임금 피크제를 정년 연장과 연계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는 의견도 25.6%를 차지했다. 이어 ‘근로자에 대한 책임 전가(22.2%)’, ‘퇴직금 감소(16.8%)’, ‘기타(2.6%)’ 순이었다. 50대는 ‘정년 연장과 연계가 불합리’하다는 응답이 28.8%로 가장 많았다. 반면 30대는 ‘근로자에 대한 책임 전가’라는 응답(24.0%)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임금 피크제 유형별 선호도는 정년을 연장하는 대신 임금을 감액하는 ‘정년 연장형’이 39.6%,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대신 임금을 감액하는 ‘근로시간 단축형’이 34.2%, 퇴직 후 재고용해 임금을 감액하는 ‘재고용형’이 20.8% 순이었다.
이어 정년을 연장하는 대신 수용할 수 있는 임금 감액 수준을 물었다. 응답자의 43.0%가 ‘10% 이상~20% 미만’의 임금 감소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했다. ‘20% 이상~30% 미만’은 27.0%, ‘10% 미만’은 21.4%였다. 반면 ‘30% 이상~40% 미만’은 5.8%, ‘40% 이상~50% 미만’은 2.8%에 불과했다. 특히 기능·작업직은 ‘40% 이상~50% 미만’을 선택한 응답자가 ‘0%’였다.
직장인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정년은 ‘65세 이상(43.8%)’으로 나타났다. ‘63~64세’ 22.4%, ‘60세’ 20.0%, ‘61~62세’ 9.0%, ‘현행 정년 유지’ 3.8%순이었다. ‘기타(1.0%)’ 응답 중에는 정년이 나이가 아니라 능력으로 결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년 연장이 몰고 올 부정적인 영향을 묻는 항목에는 52.6%가 ‘신규 채용 감소’를 들었다. 이어 ‘인사 적체(18.0%)’, ‘생산성 저하(15.6%)’, ‘인건비 부담 증가’(13.6%), ‘기타(0.2%)’ 등이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는 ‘생산성 저하(20.0%)’, 40대는 ‘인사 적체(20.0%)’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임금체계 개편엔 동의…대안은 엇갈려
정년 연장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고령 근로자의 경험·노하우 활용(70.8%)’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은 16.8%, ‘인력 부족 완화’는 7.6%, ‘사기 진작’은 4.2%였다. 직종별로 보면 기능·작업직에서 22.2%가 정년 연장이 ‘인력 부족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한 점이 눈길을 끈다.
정년을 연장하려면 현행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를 먼저 바꿔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직장인들도 대부분이 이러한 주장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을 연장하기 위해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9.0%(‘매우 필요’, ‘필요’ 포함)에 달했다.
하지만 개편 대안은 전문가들과 달랐다. 응답자 55.0%가 ‘호봉급과 결합된 연봉제’를 선호했다. 상당수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직무·성과급 중심 순수 연봉제’를 선택한 응답자는 35.8%에 불과했다. ‘호봉제’를 대안으로 꼽은 응답자도 9.0%나 됐다. 흥미로운 것은 20대가 상대적으로 호봉제 등 안정성을 더 선호했다는 점이다. 20대만 보면 ‘호봉급과 결합된 연봉제’ 61.6%, ‘직무·성과급 중심 순수 연봉제’ 28.0%, ‘호봉제’ 10.4% 등이다.
장승규 기자 sk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