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허리병 위협하는 ‘척추관협착증’ 다스리기


요즘은 할아버지, 할머니가 등산이나 걷기 운동을 무리 없이 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체력을 위해 운동으로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갑자기 조금만 걸어도 엉덩이와 다리가 저리고 힘이 없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척추관 협착증’이란 척추 주변의 근육 조직과 인대들이 퇴행성 변화를 거듭하면서 비대해져 척추관이 좁아지는 증상이다. 즉, 신경이 수도 파이프처럼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내려가야 하는데 수도관이 막혀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져 증상이 발생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뉜다. 선천적으로 척추가 좁아 이 질환을 앓게 되면 다리를 절거나 주저앉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 외에 대부분은 육체 노동을 오랫동안 한 노년층에 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협착증 증상은 일반적으로 잘 걷다가 갑자기 확 주저앉게 되거나 다리가 저리는 파행을 겪는다.이때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아 있으면 일시적으로 통증이 완화되지만, 확실히 개선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 검사와 CT 및 MRI 등을 통해 진단 할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척추관 협착의 정도와 위치, 척추의 불안정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시행하며 경과를 지켜본다. 경막의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은 허리뼈와 신경 사이 경막의 공간에 주사하는 요법으로 심한 급성 하지 방사통 및 파행성 통증을 줄여줘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신경성형술이라는 비수술적 요법 또한 척추관 협착증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협착된 부위의 신경이 나가는 통로를 넓혀주고 신경부종 및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가 있다.

증상에 호전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치료는 좁아진 신경관을 넓혀주는 후궁절제술로 증상을 개선하며, 절제의 정도와 척추 불안정성 유무에 따라, 기기고정술 및 척추유합술이 시행되는 경우도 있다.

평택21세기병원 고광원 원장은 “나이가 들면서 뼈와 관절이 약해지고 근육이 줄어들면 누구에게나 협착증 같은 디스크 질환이 올 수 있다”며 “맨바닥에 앉아서 장시간 일하는 것을 피하고 허리를 숙이고 일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고 원장은 “특히 장시간 허리를 구부리고 일을 할 때에는 한, 두 시간마다 잠시 일을 멈추고 허리를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과 걷기운동을 규직척으로 해줘 척추의 유연성과 근력을 유지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