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생생 토크] 대선 앞둔 여당 지도부 구성하기

총선에서 승리한 새누리당이 지도부 구성에 나선다. 지난 4월 31일부터 시작된 19대 국회의 사령탑 역할을 할 원내 지도부를 5월 9일, 150명의 국회의원을 포함해 20여만 당원들을 대변할 당 대표와 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는 5월 15일 전당대회에서 선출한다. 총선이라는 큰 숙제를 끝낸 새누리당 의원들도 분주한 모습이다.

이번 새누리당의 지도부 구성은 간단해 보이면서도 복잡하다. 19대 국회의 새누리당을 이끌 원내대표와 정책위 의장을 의원들이 투표로 뽑고 당 지도부는 전당대회를 열어 당원이 뽑으면 된다. 간단한 문제다.

하지만 올 12월에 대선이 있다는 점이 변수다. 당의 모든 체제가 ‘정권 재창출’로 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 지도부도 그중 일환으로 보는 전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얘기다. 당 지도부가 현 상황에서 가장 유력한 대권후보인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가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가 최우선 고려 순위로 정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마련된 자리는 국회의장(다수당인 새누리당 몫), 국회부의장(1당 몫), 당 대표, 최고위원, 원내대표, 정책위 의장 등이다. 최고위원은 지명직 두 명과 당연직 두 명을 제외한 당 대표 경선에서 2~5등(여성 포함 시)까지 하게 된다.
<YONHAP PHOTO-0404> 환하게 웃는 박근혜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황우여 원내대표의 모두발언을 들으며 박수를 치고 있다. 2012.5.2 maum@yna.co.kr/2012-05-02 11:40:18/ <저작권자 ⓒ 1980-201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박심’을 중심으로 해 퍼즐 게임

우선 일정이 가장 빠른 원내대표와 정책위 의장은 미국의 대통령·부통령과 같이 러닝메이트 격으로 출마, 선택을 받는다. 현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 의장은 1년 전 같은 조(組)로 출마, 당시 한나라당 의원들로부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원내대표 경선에는 쇄신파의 선두 주자로 꼽히는 남경필 의원(5선·이하 19대 국회 기준)이 가장 먼저인 지난 5월 2일 출마를 선언했다. 이어 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주영 정책위 의장(4선)도 하루 차이로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5월 3일 현재 친박계 핵심인 이한구 의원(4선)도 기자와의 통화에서 “(박근혜 위원장 쪽으로부터) 확인을 기다리고 있고 고심 중”이라며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박심(朴心)’이다. 총선 후 친이(親李)와 반박(反朴)이 사라진 상황에서 대부분 의원들이 친박계로 분류되고 있다. “총선 이후 새누리당은 ‘원박(遠朴)’과 ‘근박(近朴)’만 있는 상황”이라는 말이 나온다. 당 지도부에 친박계들이 전면에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박 위원장이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가 관건인 셈이다.

예컨대 원내대표를 친박(중에서도 핵심)이 가져가면 당 대표는 친박(중에서도 핵심)계가 차지하는 게 마땅치 않아진다. “가뜩이나 ‘박근혜당’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친박계가 모두 자리를 차지하면 역풍을 맞을 수 있다(수도권의 한 쇄신파 의원)”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5월 3일 현재 당 대표 경선 참여를 선언한 의원으로는 황우여 원내대표(5선·친박), 원유철 의원(4선·비박), 심재철 의원(4선·비박), 김태흠(초선·친박) 의원 등이다. 3선의 정우택 당선자도 당 대표 경선에 출마를 고려하고 있고 김무성·홍사덕 의원의 역할론도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일정이 가장 빠른 원내대표-정책위 의장의 멤버가 확정되면 이에 따라 당 대표의 자리는 유동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현실 탓에 원내대표는 투표 1주일이 남은 5월 3일까지 원내대표 출마자가 러닝메이트도 구하지 못하고 있는 예외적인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한편 1당 몫인 국회의장은 대선 때 충청 표를 고려, 대전중구에서 6선을 한 강창희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당초 강 의원은 같은 이유로 당 대표에 이름이 오르내렸으나 군사정권에서의 경력으로 수도권의 젊은 층들이 대선에서 외면할 우려가 있다는 말이 당 내부에서 나오면서 국회의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재후 한국경제 정치부 기자 hu@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