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넘어설 최고의 제약사는] 한미약품이 신약 개발에 강한 까닭

역량 결집 …‘투 트랙 전략’ 대성공

한미약품은 이번 증권사 제약 담당 애널리스트 대상 설문 조사에서 ‘개량 신약’ 부문 1위를 차지했는데, 조사에 응한 15명 중 14명이 한미약품을 최강자로 꼽았다. 그 이유는 뭘까.

우선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를 들 수 있다. 한미약품은 국내 제약 기업 중 가장 많은 금액을 R&D에 투자하고 있다. 2011년에만 매출(6062억 원)의 13.9%인 840억 원을 신약 개발에 투입해 총 12건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 그동안 자체 R&D 역량 축적에 집중했던 한미약품은 2010년 말 외부 유망 신약을 발굴하는 eR&D팀을 발족한 것을 비롯해 글로벌 제약 회사들과 동시다발적으로 제휴하며 R&D 외연을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 내부와 외부의 R&D 역량을 융합하는 이른바 ‘투 트랙(Two-Tract)’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신약 탄생 시기를 앞당기겠다는 것이 한미약품의 복안이다.

한미약품은 이 같은 ‘투 트랙’ 전략으로 표적 항암제 ‘KX01’과 비만 치료제 ‘ALS -1023(천연물신약)’ 등 2건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한미약품의 첫 번째 천연물 신약인 ‘ALS-1023’은 국내 바이오 벤처인 안지오랩이 개발했다. 2상 임상에서 내장 지방을 15%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미약품은 3상 임상을 거쳐 2013년 제품화할 계획이다.

‘투 트랙’ 전략을 통한 R&D 외연 확대는 한미약품 신약 파이프라인의 볼륨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왔다. 한미약품은 KX01 도입을 통해 맺은 카이넥스와의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경구용 항암 신약 개발의 기반 기술인 ‘오라스커버리’를 작년 말 수출했다. 이 계약으로 카이넥스는 오라스커버리를 적용한 ‘오락솔’, ‘오라테칸’ 등 한미약품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임상을 전담하게 됐다.

베이징한미연구센터는 글로벌 임상 전진기지

한미약품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보유 중인 항암 및 바이오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R&D 제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 월 1회 타입의 세계 최초 당뇨병 치료제인 LAPS-Exendin4(미국 임상 2상), 내성암에 효과적인 표적 항암제 HM781-36B(Pan-Her Inhibitor, 국내 1상), 폐암 유발 단백질인 EGFR의 2차 돌연변이에도 작용하는 표적 항암제 HM61713(국내 1상) 등 한미약품 신약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글로벌 제약 회사들과의 제휴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을 잇는 R&D 네트워크인 베이징한미연구센터도 글로벌 임상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면서 한미약품의 신약 개발 역량을 드높이고 있다. 2008년 10월부터 가동에 들어간 베이징한미연구센터는 출범 초기 30여 명이던 연구 인력을 현재 110명 수준으로 크게 늘렸다. 연구원의 60%가 베이징대·칭화대·선양대 등 중국 명문 대학 출신이며 87%가 석·박사 학위 소지자일 정도로 우수 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한미약품은 그동안 개량 신약 개발에서 혁혁한 성과를 거둬 온 것이 사실이다. 2004년 발매된 고혈압 치료제 ‘아모디핀’은 국내 개량 신약 붐을 일으킨 주인공이다. 이후 혈전 치료제 ‘피도글’,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에소메졸’, 복합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 등 개량 신약을 잇달아 발매하며 국내시장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에소메졸’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도전하는 첫 번째 국산 개량 신약이다. 2010년 해외 임상을 종료하고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심사를 받고 있다.

한미약품 손지웅 R&D 본부장은 “내부 R&D 역량을 외부의 잠재력과 결합하는 ‘투 트랙 전략’이 한미약품의 신약 개발 속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며 “201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대한민국 첫 신약을 한미약품이 발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