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Digest] 갤럭시S, 日 시장 뚫다 등

12월 13~18일

갤럭시S, 日 시장 뚫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는 올 한 해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이다. 시장에 선보인 지 70일 만인 지난 12월 1일 판매량(공급) 기준으로 100만 대를 넘어섰다. 휴대전화 사상 최단 기간에 판매량 100만 대를 넘어서는 기록도 세웠다.

하지만 갤럭시S의 진정한 성과는 일본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국내 전자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톱3 안에 안착하며 성공 가도를 달렸지만, 유독 일본 시장에서는 힘을 쓰지 못했다.

현대자동차도 10년간 공을 들인 일본 시장에서 철수했을 정도다. 요즘 그런 일본에서 갤럭시S는 물건이 없어 팔지 못할 정도로 인기다. 누적 판매량만 15만 대를 기록하며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휴대전화가 됐다. 단순한 히트 상품이 아니라 한국 전자 제품이 30년 만에 ‘부품 업체’의 꼬리표를 떼고 품질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경제·정책

MB “예산 상반기 60% 집행”

이명박 대통령은 12월 14일 기획재정부의 ‘2011년 경제 전망과 정책 방향’ 보고 자리에서 “내년 예산 집행 과정에서 상반기 중 전체의 60%가량을 집행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해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에 국민이 경기 회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추진해 온 정책들의 성과를 가시화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또 가계 부채 증가율이 경상성장률 증가 속도(7% 수준)보다 빠르지 않게 가계 부채 총량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상생 기업 벌점 깎아준다

현금 결제 비율 확대 등 협력사와의 상생에 노력하는 기업에 이미 부과한 벌점을 깎아주는 방안이 추진된다. 중소기업청은 이 같은 내용의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상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지방중기청장으로부터 ‘수·위탁 거래 우수 기업’으로 확인되면 부과 받은 벌점이 경감된다. 중기청은 매년 거래 실태 조사를 벌여 불공정 업체에 벌점을 부과하고 있으며 개선 요구나 시정명령을 듣지 않고 벌점이 쌓인 곳에는 공공 입찰 제한 등의 불이익을 주고 있다.


산업·기업

금호, 대한통운 팔기로

최근 산업은행 및 업계에 따르면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대한통운 지분 25.6% 중 아시아나항공이 갖고 있는 지분 24.0% 전량을 매각하기로 했다. 산은도 대우건설의 대한통운 보유 지분 24.0%를 금호 측과 함께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호 측과 대우건설이 보유한 대한통운 지분 48.0%의 시가는 약 1조 원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한 매각 대금은 총 1조7000억~2조 원 안팎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삼성·SK·롯데·포스코·한진·STX·CJ 등이 인수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현대百, LED 조명 사업 진출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 식품 회사인 현대그린푸드는 12월 16일 경기 안산에 있는 중소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생산 업체 반디라이트의 지분 51%를 인수하고 사명을 현대LED로 변경,등록했다.

LED 칩 전문 제조업체인 서울반도체도 이 회사 지분 10%를 확보해 현대LED의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했다. 국내에서는 삼성LED가 올 8월 가정용 조명 제품을 내놓았고 LG전자·포스코·금호 등도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금융·증권

금융위, BS금융지주 설립예비인가

금융위원회는 12월 15일 정례 회의를 열고 부산은행에 대해 BS금융지주(가칭) 설립을 위한 예비 인가를 내줬다. 지방은행 중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은 부산은행이 처음이다.

BS금융지주는 부산은행 등 4개 자회사를 두게 된다. 부산은행은 내년 금융위에 본인가를 신청하고 3월 중 금융지주사를 공식 출범시킬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중 은행세 도입 확정

정부가 내년 상반기 중 은행세(은행 부과금)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외국환거래법 개정안을 마련, 내년 2월 임시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12월 15일 “은행 부과금을 ‘거시건전성 부과금’이란 이름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부과 대상이나 수준, 도입 시기 등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과 대상은 외국환을 거래하는 국내 은행과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이 모두 포함된다. 외환시장 변동 폭을 키우는 단기채 외에 중·장기채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수준은 외화 차입 금액의 일정 비율을 매기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정리=장진원 기자 jjw@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