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주가 ‘레벨업’ 시기…경기는 ‘둔화’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

2009년 3월 이후 지속되고 있는 글로벌 증시의 강세를 이끌었던 엔진은 크게 3가지였다. 경기 회복, 기업이익 증가, 글로벌 공조에 기반한 저금리가 그것들이다.

향후 경기 확장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나머지 2가지 요인은 하반기에도 여전히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경기 역시 급격한 하강이 아닌 연착륙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반기에도 큰 틀에서의 주가 상승 기조는 이어질 것이다.

기업이익과 관련해 시장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우려 중 하나는 기업이익의 개선 속도가 둔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로 기업이익의 개선 속도(YoY, QoQ)는 연중 1분기가 정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필자는 기업이익의 절대 레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2010년 상장사들의 예상 순이익 규모(88조 원)는 직전의 최고치였던 2007년 수준(58조 원)을 훨씬 넘어서는 압도적인 사상 최고치이기 때문이다. 이익의 레벨이 높아지는 국면에서 모멘텀만 보다가는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물론 기업 분석가들의 이익 전망치가 틀릴 수도 있다. 과거에도 경기가 하강 국면에 접어든 이후 실적 추정치는 후행적으로 하향 조정되곤 했었다.

과거 경기가 연착륙했을 때 기업이익 전망치의 하향 조정 폭은 2004년에 5.5%, 2006년 경기 하강기에 16.6%였다. 이번 경기 하강 사이클에서 20%의 감익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기업이익의 절대 레벨은 70조 원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감익을 감안해도 사상 최대의 기업이익이다. 주가는 더 오를 수 있다(그림1 참조).

금리 인상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금리 인상 논쟁이야 작년 하반기 이후 지속되고 있는 일이지만 논쟁 격화의 발단은 지난 4월 말 워싱턴에서 열렸던 G20 재무장관 회담 성명에서 ‘각국의 사정에 맞는 출구전략 구사’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는 데서 비롯됐다.

시장에서는 출구전략에 관한 한 글로벌 공조가 느슨해졌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미 2009년 8월 이스라엘을 시작으로 여러 나라가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다,

기업이익은 ‘사상 최대’ 전망돼

필자는 기준금리를 올리고 있는 국가들은 한국과 중국 등과 같은 경상수지 흑자국들과 사정이 다르다고 보고 있다. G20 회의의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의 완화 도모라는 관점에서 최근의 글로벌 공조, 금리 인상 논쟁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

G20 국가 중에서 이미 금리를 올린 호주·인도·브라질·캐나다의 상황을 살펴보자. 통상 금리 인상의 가장 중요한 명분은 물가 불안인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호주·인도·브라질·캐나다 등은 물가 불안국이라기보다 경상수지 적자국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4월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저축을 늘리고, 재정 적자와 대외 불균형을 축소해야 하는 국가들로부터 발생하는 수요 감소를 완충시키기 위해 여력이 있는 국가는 국내 성장 원천을 확대해야 한다”는 성명이 있었다. G20 국가 중에서 금리를 올리고 있는 4개국은 ‘저축을 늘리고, 대외 불균형을 축소해야 하는’ 경상수지 적자국들인 것이다.

글로벌 공조라는 틀에서 보면 대외 불균형이 있는 국가들은 금리를 올리면서 긴축을 할 필요가 있다. 경상수지 적자의 궁극적인 원인은 다른 나라 상품에 대한 과도한 수요다. 특히 호주·브라질·캐나다 등은 자원 부국이다.

이들은 상품 가격이 올라갈 때 수혜를 보는 국가들이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됐다고 보기도 어렵다. 과도한 소비가 경상수지 적자의 원인이었고 대외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긴축을 통한 씀씀이 축소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

모든 나라가 긴축을 하면 글로벌 수요는 축소될 수밖에 없다. 긴축을 하는 나라가 있으면 소비를 늘리는 나라가 있어야 글로벌 총수요가 유지될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은 앞서 언급한 G20 성명서 문구 중 ‘국내 성장 원천을 확대해야 하는 나라들’이다.

또한 한국과 중국 등 수출 지향적 동아시아 국가들은 해외 수요의 감소로부터 고통을 가장 크게 받게 될 국가들이다. 글로벌 공조를 굳이 강조하지 않더라도 2009년에 보여줬던 것처럼 스스로 적극적인 내수 부양을 통해 활로를 모색해야 할 국가들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과 중국의 금리 인상이 조기에 가시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우려되는 부동산 버블에 대해서도 금리 인상보다 대출 억제 등의 규제를 통해 대응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은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전체적으로 저금리 기조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금리 인상을 통한 긴축보다 지방선거 이후 논의되고 있는 것처럼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 완화를 비롯한 전반적인 경기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주식형 펀드’ 인기 다시 높아질 것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 투자자들의 리스크 수용도는 높아질 것이다. 이미 일부 대형 연·기금은 회사채 전용 펀드 도입 방침을 밝혔다. 저금리 하에서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가계 자금이 유입돼야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자산운용사들과 달리 연·기금과 보험 등 이미 맡아 놓고 있는 자금의 배분(Allocation)이 중요한 기관투자가들은 이미 주식시장에서 순매수로 돌아서고 있다.

저금리 지속은 대형 기관투자가들에게 주식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는 채권의 기대 수익률을 낮추는 요인이다. 낮은 금리에 떠밀려서 주식에 대한 순매수를 확대하는 흐름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그림2 참조)

저금리 구도가 지속되면 지속적으로 주식형 펀드를 외면해 왔던 있는 가계의 태도도 바뀔 가능성이 높다. 주식형 펀드 붐이 일었던 2007~08년에 72조 원의 자금이 주식형 펀드로 유입됐다. 안타깝게도 당시에 유입된 자금은 투자 초기에 큰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2007~08년에는 대부분의 자산 가격이 역사적 최고치 부근에 있었고 2008년 글로벌 위기 당시의 주가 하락 속도는 대단히 빨랐기 때문에 어떤 유형의 펀드에 가입하더라도 큰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당시 펀드 붐이 불었던 시기에 주식형 펀드를 주로 판매했던 채널이 은행권이었다는 사실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리스크 선호도(주식에 대한 선호)가 낮은 투자자의 ‘묻지 마 펀드’ 가입 가능성도 다분히 있기 때문이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주식형 펀드 환매도 향후 시장에 대한 비관적 전망의 산물이라기보다 2008년 급락 국면에서의 트라우마 탓으로 보는 것이 옳다. 저금리가 지속되면 가계가 계속 주식시장을 외면하기는 힘든 환경이다. 하반기에는 주식형 펀드로 자금이 재유입될 것으로 본다.

경기와 이익 모멘텀은 하반기에도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다소의 감익 가능성을 감안하더라도 기업이익의 절대 레벨은 높다.

또한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KOSPI 1700에서의 주가수익률 9배 수준)은 낮다. 또한 일부의 우려와 달리 금리의 절대 레벨은 낮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는 하반기에 한 단계 더 레벨업 될으로 보인다.

약력 : 1970년생으로 성균관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SK증권 투자전략팀장을 지냈다. 2010년부터 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을 맡고 있다.

김학균 대우증권 애널리스트 hakkyun.kim@dwsec.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