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개치는 증권가 루머 '진실이냐 거짓이냐'] ‘루머 이용’ 투자, 일반인 성공 어려워

투자 피해 막는 법

투자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뜬소문’만 믿고 투자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는 주식 격언처럼 소문은 투자 심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과거의 시세 조종은 통정매매(같은 편끼리 많은 물량은 사고 팔며 주가를 조작)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은 전산 기록으로 모두 잡아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의 시세 조종은 루머를 이용한다.

여의도의 정보 네트워크에 살짝만 소문을 흘려도 금방 퍼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루머를 최초에 접한 세력은 어느 정도 이익을 볼 수 있지만, 일반인들의 귀에 들어올 정도까지 퍼졌을 때는 이미 ‘세력’들은 팔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거래소(KRX) 시장감시본부에 따르면 소문을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거시 담론 △시시한 소문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문이다. 거시 담론은 ‘북한 김정일 사망’, ‘일본 신용 등급 하락’ 등을 말한다.

한국 증시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는 있겠지만 개별 종목과는 상관이 없다. 다만 현물에 주로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과 달리 외국인·기관 등 ‘큰손’들은 공매도·대주거래·선물·옵션을 통해 하락장에 베팅(betting)할 수 있으므로 루머를 통해 이익을 볼 개연성은 있다.

시시한 소문은 정치인 또는 연예인의 스캔들 같은 것들로 증시와 상관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SM엔터테인먼트 같은 상장기업의 경우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소녀시대 멤버 중 한 명의 열애설이 퍼진다면 시장감시본부가 촉각을 세울 만하다.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문은 ‘○○그룹 자금 악화설’, ‘인수·합병(M&A)설’, ‘재벌 2세 투자설’ 등이다. 특히 M&A설로 주가가 이상 급등할 경우 시장감시본부가 조회공시를 띄운게 된다. 이때 해당 기업의 반응은 세 가지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 ①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②검토는 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 ③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

해당 기업이 ‘①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가 나중에 실제 M&A가 이뤄질 경우에는 ‘불성실 공시 법인’으로 찍힐 수 있다. 그러나 ‘②검토는 하고 있지만 결정된 바는 없다’고 했다가 나중에 실제 M&A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허위 공시가 되지는 않는다. “다각도로 검토해 봤지만 실익이 없다”고 얘기하면 그만인 것이다.

허위 루머 신고 포상금 최고 1억 원

따라서 M&A설이 퍼졌을 때 해당 기업이 ③처럼 완전히 부정적인 답변을 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③의 답변을 했다면 정말 M&A 의사가 없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②의 답변을 했다면 향후 실제로 M&A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거래시장에서 신뢰를 지키려는 우량 기업일 경우에 그렇다는 것이지 불성실 공시를 겁내지 않는 코스닥시장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한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은 비교적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가 잘 마련돼 있는 편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상·하한가가 없고 조회공시를 하지도 않는다. 모든 것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다. 한국거래소는 “미국은 루머가 돌더라도 투자자들이 둔감하다”는 것도 이유로 들고 있다. 미국의 경우 내부 고발 시스템을 비롯한 시장 자체의 자정 능력이 있다는 것도 이유로 들 수 있다.

주가의 이상 급등락이 생길 경우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본부 시장정보분석팀 또는 △금융감독원 시장감시팀에 문의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허위 사실 유포를 통한 불공정 거래를 잡는 데 결정적인 제보를 할 경우 최고 1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금융감독원 시장감시팀 윤동인 팀장은 “제보가 중요하다. 신고자의 신분이 드러나지 않도록 철저하게 감춰준다”며 신고를 독려하고 있다. 시장감시팀에 따르면 하루 20~30건의 제보가 들어오고 연 10명 내외의 신고자가 포상금을 타 갔다.

그러나 제보를 하기 위해서는 제보자가 신원을 일단 밝혀야 한다. 뜬소문과 관련된 전화가 워낙 많이 오다 보니 제대로 된 제보를 거르기 위한 것이다. 윤 팀장은 “그러나 제보자에게 신분을 물어 보면 금방 끊어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하고 있다.

우종국 기자 xyz@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