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구조..."달라졌네 달라졌어"

증권전문가들은 최근 우리나라 증시에서 주가차별화가 심화되는 등증시의 체질이 옛날에 비해 크게 바뀐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증시의 기관화현상이 진전되면서 기존의 큰손이라는 개념이 크게 달라졌기 때문으로 이들은 진단하고 있다. 또 투자유망 지표와 관련해 과거에는 정부의 증시정책에 의존했던 것을 이제는 PER(주가수익비율) 등 내재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아울러 올 6월말 종합주가지수는 1,000선 미만일 것이라는견해가 절반을 넘었고 특히 950이상 1,000미만일 것이라는 의견이가장 많았다.이같은 내용은 에서 지난 1월25일부터 2월3일까지10일동안 국내 증권전문가 5백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나타난 것이다. 이번 조사는 전국 각지에서 활약하는 주요증권사의 지점장들과 은행 투신 보험 연기금 등의 주식운용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최근 주가 개별종목별로 움직여설문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98%가 90년대들어 우리 증시의 흐름이나구조가 옛날에 비해 크게 바뀌었다고 보았다. 이들중 주가차별화가심화됐다는 점에서 증시체질 변화를 실감한다는 의견이 59.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과거에는 업종별로 동반 상승하거나동반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금은 주가가 개별종목별로 움직이는 현상이 뚜렷하다는 견해도 27.8%였다.이어 옛날식의 투자지표는 잘 안맞는다(5.5%)거나 주가의 출렁거림이 보다 커졌다(2.8%)는 순이었다. 또 「작전」이 옛날보다 성행한다는 점을 꼽은 전문가들(0.9%)도 있었다.이처럼 우리 증시의 체질이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응답자들은 대부분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커지면서 그동안 우리 증시를 주물러 왔던 「큰손」의 개념이 달라졌다(52.3%)는 점에서 찾고 있다. 이어지난 92년의 자본시장 개방으로 대규모의 외국자금이 들어왔기 때문(37.4%)이라는 견해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신세대 투자자들이 등장하는 등 시장참여자의 면면이 달라졌다(4.7%)거나 상장기업수와 상장주식 규모가 늘어난 결과(3.7%)라는 지적은 소수의견에그쳤다. 특히 신세대 투자자의 등장을 지목한 경우는 증권사 지점장들이 8.6%를 차지한 반면 여타 기관에선 전무해 눈길을 끌었다.「큰손」의 개념이 달라졌다는 응답에서 보듯 큰손들이 우리증시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금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큰손의 영향력이 10%미만이라는 응답이 26.6%로 가장 많았고 10%이상 20%미만과 20%이상 30%미만이라는 견해가 각각22.8%를 차지해 전체의 절반이상이 30%미만이라고 보았다. 물론30%이상 40%미만(16.1%) 40%이상 50%미만(3%)에 이어 아직도 50%이상의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는 지적도 7.9%에 달했다. 기관별로는증권사에선 10%미만이라는 견해가 30.4%를 차지한 반면 여타 기관들은 20%이상 30%미만이라는 의견이 28.9%로 가장 많아 상대적으로증권사보다 은행 투신 등이 큰손의 「파워」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최근 1년여 우리증시는 침체를 면치 못해 숱한 투자자들을 답답하게 했다. 이처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가장 큰 수익을 내는 투자세력으로는 단연 외국인들이 지목된 점은 곰곰이 되새겨 보아야 할대목이다. 전체 응답자의 54.3%가 외국인들이 가장 큰 수혜자라고꼽은 것이다.또 보험사들이라는 견해가 22.9%였고 투신사와 연기금이라는 의견도 각각 12.4%와 5.6%를 차지했다. 반면 증권사라는 응답은 전무해증권사들의 무더기 유가증권 평가손을 반영했고 은행(1.8%) 일반회사(1%) 일반인(1%) 등으로 조사돼 개인투자자들의 「울화통」이 여실히 드러났다. 기타 의견으로 작전세력이라고 제시한 경우도 있었다.유망한 투자지표는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 것일까. 과거 70~80년대에 가장 유망했다고 생각되는 투자지표로는 정부의증시정책(36.4%)이라는 견해가 가장 많아 우리 시장에서 정부의 잦은 증시개입이 주가흐름에 큰 영향력을 발휘해온 것으로 분석됐다.이어 각종 차트분석 등의 기술적 분석(21.2%) 실적호전종목(15.2%)작전(9.1%) PER(7.1%) 등의 순이었다. 개별종목의 자산가치를 나타내는 PBR(주가순자산비율)나 미래성장성을 반영하는 PEG(주가성장성비율) 등을 지목한 경우는 전무해 그야말로 주먹구구식의 투자행태를 보여온 것으로 드러났다.앞으로 일반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해야 할 투자지표에 대해선 가장많은 35.5%가 PER라고 지적했다. 또 실적호전주를 눈여겨 보아야한다는 의견도 29%를 차지했다.특히 증권사에선 실적호전주(31.7%) PER(26.7%) 등의 순으로 지목한 반면 여타 기관들은 PER(46.8%) 실적호전주(25.5%)의 순으로 응답해 기관들마다 약간의 견해차이를 보였다. 이어 기술적분석(10.3%) PBR(8.4%) 증시정책(4.7%) 개별종목의거래량추이(3.7%) 등의 순이었고 PCR(주가현금흐름비율)를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그래도 「작전」밖에 없다는 견해도2.8%나 있어 국내 기관들의 의식수준이 바뀌기에는 시간이 필요한것으로 분석됐다. 대주주의 매매현황이나 낙폭과대종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혀 없었다.올해는 외국인한도의 추가확대가 예정돼 있다. 대개는 상반기중에현재 15%인 종목당한도가 18~20%선으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작년 7월부터 한도가 기존의 12%에서 15%로 늘어남에따라 작년 전체로는 45억8천만달러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순유입됐었다. 올상반기중 외국인한도가 18%로 3%포인트 확대될 경우 올해말까지 외국인자금은 20억~30억달러정도 순유입될 것(36.7%)이라는견해가 가장 많았다. 이어 10억~20억달러(21.4%)30억~40억달러(17.4%) 등의 순이었으며 50억달러이상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도 9.2%였으며 오히려 빠져나갈 것이라는 견해도 2%를 차지했다.이제 우리 증시는 4월의 총선정국과 맞물려 복잡다단한 궤적을 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선거 이후의 주가도 관심이 아닐 수 없다. 올 6월말 종합주가지수에 대해선 조사대상자중 3분의2가1,000선을 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많은 27.1%가 950~1,000미만을 예상했고 이어 900~950미만을 내다본 응답자가 24%로대부분 900대에 그칠 것으로 점치고 있다. 6월말의 지수가1,000~1,050미만일 것이라는 응답이 13.5%인 것을 비롯, 1,000선을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한 경우는 전체의 32.3%에 불과했다. 기관별로는 증권사들의 41.5%가 1,000선을 넘을 것으로 본 반면 여타 기관들에선 20.9%에 그쳐 상대적으로 증권사들이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군다나 1,200선 이상을 내다본 경우는증권사에선 7.5%에 달했지만 여타 기관들은 전혀 그렇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이밖에 증권사 지점장들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지점장들은 현재 일선 영업을 총괄하면서 수익률제고(61.6%)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어 건전한 영업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는25%에 달했고 투자자금 유치나 회전율 제고에 역점을 둔다도 10%였다. 수수료 수입을 높이기 위해 주식을 자주 사고팔아 회전율을 높이는데 급급하다는 응답은 1.7%에 그쳤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