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 “금리 올려야 미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입력 2021-06-14 06:27:01
수정 2021-06-14 06:27:01
[이 주의 한마디]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 “금리 올려야 미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또다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확장 재정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금리가 인상되는 것이 자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환경이 조성되면 미 중앙은행(Fed) 관점에서 결국 도움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10년간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과 금리와 싸우고 있다. 정상적 금리 환경으로 돌아가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는 4조 달러(약 410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예산을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옐런 장관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거듭하고 있어 각국 중앙은행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다.
옐런 장관은 미국 물가가 최근 빠르게 상승하는 것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정상적 상황이라며 금리를 올려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 올라 2008년 9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바 있다.
[한눈에 보는 글로벌 주간 핫뉴스]
CNBC
美 Fed, 테이퍼링 올해 말 실시 전망
미국 중앙은행(Fed)이 다음 정례 회의에서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논의를 시작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본격 실시 시기는 올해 말로 전망된다.
CNBC는 Fed가 자본 시장이 테이퍼링에 대비하게 하는 초기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도했다. 테이퍼링은 Fed가 양적 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정책이다.
코로나19 백신 보급 확대로 각 경제 활동이 정상화 초읽기에 들어서면서 인플레이션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Fed가 테이퍼링으로 시장을 안정화하려고 한다는 주장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테이퍼링이 시기상조라고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 하지만 미국 물가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테이퍼링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로이터통신
“테슬라, 호주에서 배터리 원료 수입 확대”
로이터통신이 엘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호주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원료 수입을 늘리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매년 10억 달러(약 1조1130억원) 규모다.
테슬라가 사용하는 리튬의 4분의 3, 니켈의 3분의 1은 호주산이다. 이를 더욱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호주 정부는 올해 리튬과 니켈 수출액이 각각 8600억원, 3조44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테슬라가 호주산 리튬·니켈 수입을 늘리는 것은 전기차 배터리 원료를 최대한 동맹국에서 수입하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방향과 맞는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뉴욕타임스
美 FDA, 18년 만에 알츠하이머병 신약 승인
뉴욕타임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8년 만에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애드유캔유탭’으로 불리는 이 신약은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 등이 개발한 약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4주에 한 번씩 주사로 맞는 방식이다. FDA는 승인 조건으로 약의 효능 확인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라는 조건을 제시했다.
EFE통신
국경없는의사회 “유럽,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방해”
국경없는의사회(MSF)가 유럽연합(EU)과 영국 등이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협상을 방해하고 있다고 밝혔다.스페인 통신사 EFE통신에 따르면 이들 국가는 코로나19 백신 관련 지식재산권 면제와 관련해 지연 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해 다른 대륙에 치료·진단법이 넘어가는 것을 우려해서라는 분석이다. MSF는 하루빨리 지재권 협상이 끝나 백신 보급이 더욱 빨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타스통신
러시아, 미국 이어 항공자유화조약 탈퇴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서명을 끝으로 ‘항공자유화조약(OST)’을 공식 탈퇴했다. 미국이 탈퇴한 후 6개월 만이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탈퇴 법안에 서명했고 상하원이 이 법안에 만장일치로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OST는 2002년 발효됐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과 러시아 등 34개국이 참여했다. 회원국 간의 영토에 대해 비무장 감시 비행을 허용해 군사 활동의 투명성을 증진하는 것이 목표다.
유호승 기자 yhs@hankyung.com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 “금리 올려야 미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또다시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확장 재정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금리가 인상되는 것이 자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환경이 조성되면 미 중앙은행(Fed) 관점에서 결국 도움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10년간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과 금리와 싸우고 있다. 정상적 금리 환경으로 돌아가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는 4조 달러(약 410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예산을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옐런 장관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거듭하고 있어 각국 중앙은행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다.
옐런 장관은 미국 물가가 최근 빠르게 상승하는 것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정상적 상황이라며 금리를 올려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 올라 2008년 9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바 있다.
[한눈에 보는 글로벌 주간 핫뉴스]
CNBC
美 Fed, 테이퍼링 올해 말 실시 전망
미국 중앙은행(Fed)이 다음 정례 회의에서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 논의를 시작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본격 실시 시기는 올해 말로 전망된다.
CNBC는 Fed가 자본 시장이 테이퍼링에 대비하게 하는 초기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도했다. 테이퍼링은 Fed가 양적 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정책이다.
코로나19 백신 보급 확대로 각 경제 활동이 정상화 초읽기에 들어서면서 인플레이션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Fed가 테이퍼링으로 시장을 안정화하려고 한다는 주장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테이퍼링이 시기상조라고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 하지만 미국 물가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테이퍼링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로이터통신
“테슬라, 호주에서 배터리 원료 수입 확대”
로이터통신이 엘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호주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원료 수입을 늘리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매년 10억 달러(약 1조1130억원) 규모다.
테슬라가 사용하는 리튬의 4분의 3, 니켈의 3분의 1은 호주산이다. 이를 더욱 늘리기로 결정하면서 호주 정부는 올해 리튬과 니켈 수출액이 각각 8600억원, 3조44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테슬라가 호주산 리튬·니켈 수입을 늘리는 것은 전기차 배터리 원료를 최대한 동맹국에서 수입하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방향과 맞는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뉴욕타임스
美 FDA, 18년 만에 알츠하이머병 신약 승인
뉴욕타임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8년 만에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애드유캔유탭’으로 불리는 이 신약은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 등이 개발한 약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4주에 한 번씩 주사로 맞는 방식이다. FDA는 승인 조건으로 약의 효능 확인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라는 조건을 제시했다.
EFE통신
국경없는의사회 “유럽,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방해”
국경없는의사회(MSF)가 유럽연합(EU)과 영국 등이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 협상을 방해하고 있다고 밝혔다.스페인 통신사 EFE통신에 따르면 이들 국가는 코로나19 백신 관련 지식재산권 면제와 관련해 지연 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자국 우선주의에 기반해 다른 대륙에 치료·진단법이 넘어가는 것을 우려해서라는 분석이다. MSF는 하루빨리 지재권 협상이 끝나 백신 보급이 더욱 빨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타스통신
러시아, 미국 이어 항공자유화조약 탈퇴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서명을 끝으로 ‘항공자유화조약(OST)’을 공식 탈퇴했다. 미국이 탈퇴한 후 6개월 만이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탈퇴 법안에 서명했고 상하원이 이 법안에 만장일치로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OST는 2002년 발효됐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과 러시아 등 34개국이 참여했다. 회원국 간의 영토에 대해 비무장 감시 비행을 허용해 군사 활동의 투명성을 증진하는 것이 목표다.
유호승 기자 y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