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만 있나?…‘벌크선 강자’ 대한해운도 있다

전용선 부문 매출 높아 불황 속에서도 안정적 운영 가능, 환경 규제에도 ‘대응 중’

[비즈니스 포커스]



해운업계의 시황이 되살아나면서 모처럼 한국의 해운사들도 휘파람을 불고 있다. 컨테이너 시황을 알 수 있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6월 넷째 주 기준 3785를 기록하며 올해 최고치 기록을 또 경신했다. 상황이 좋은 것은 컨테이너뿐만이 아니다. 글로벌 경기 지표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발틱운임지수(BDI)도 쑥쑥 오르고 있다.

컨테이너에 비해 잠시 주춤하던 벌크 시장은 2분기 들어 상승세를 달리고 있다. 6월 넷째 주 BDI는 3177로 전주 대비 51포인트 상승했다. 2분기 들어서는 3000대를 유지하며 안정적 추이를 보이고 있다. 올해 평균 BDI 운임은 2229로 지난해 평균인 1066을 이미 앞질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운사들도 연일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초대형선 발주로 부활에 성공한 HMM뿐만 아니라 벌크선사들도 올해가 그 어느 때보다 기대되는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유상 증자로 경쟁력 강화 나선 대한해운 SM그룹의 벌크선사 대한해운은 2013년 SM그룹에 편입된 후 30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대한해운의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0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20% 증가했다. 매출액은 2.3% 감소한 2255억원, 순이익은 24% 증가한 529억원이다.

대한해운 관계자는 “올해 1분기는 부정기선 운용 선대를 조정하고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대폭 키웠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한해운은 100% 자회사인 대한해운엘엔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또 해외 우량 화주와의 장기 계약을 지속적으로 체결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했다.

유상 증자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한해운은 지난 3월 31일 이사회 결의에 의한 유상 증자(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 공모) 납입이 완료됐다고 6월 17일 밝혔다. 신규 발행 주식 수는 749만6370주로 발행 금액은 약 1865억원이다. 이에 앞서 대한해운은 유상 증자 신주 발행가액을 2940원으로 정한 바 있다.

대한해운은 재무 구조 개선이라는 내실을 다지고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대한해운 측은 유상 증자로 확보한 자금은 모두 차입금 상환에 사용할 예정이고 이를 통해 연간 금융비용 약 100억원 감소, 신용 등급 상향 기대 등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운업은 전통적인 자본 집약 산업이다. 2017년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한국 해운이 부침을 겪은 것도 글로벌 선사들에 비해 초대형 선박 발주에 뒤처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선사들은 시황이 좋을 때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려고 한다. 대한해운 역시 유상 증자를 통해 회사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1968년 설립된 대한해운은 전용선(건화물, LNG), 부정기선(건화물), 탱커선(LPG&Product), 자동차선(PCTC)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고객은 포스코·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현대글로비스 등이 있고 2013년 SM그룹에 편입됐다. 현재 SM그룹은 대한해운의 지분 55%를 가진 대주주다. 또 대한해운은 대한상선의 지분 71.34%를 보유하고 있다.

한진해운의 자산을 인수해 ‘SM상선’을 설립한 SM그룹은 현재 SM상선·대한해운·대한상선 3사를 운영하며 해운 시장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컨테이너 해운은 SM상선이, 벌크선 부문은 대한해운과 대한상선이 맡는 구조다.

전용선 부문 매출 92% 차지 지난 5월만 해도 급락하던 BDI는 최근 들어 3000대까지 회복됐다. 이는 곧 BDI가 높더라도 언제 또 하락장이 올지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사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대한해운은 초대형 원유 운반선과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LNG 벙커링선 등 전용선 선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부정기선 부문 또한 사업을 축소하며 불안정한 시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모습이다

대한해운의 포트폴리오 중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은 장기 운송 계약의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장기 운송 계약은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한해운은 포스코·한국가스공사·현대글로비스·한국전력 등과의 장기 운송 계약을 통해 전용선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 구성은 전용선 부문의 비율이 92%로 가장 높다. 부정기선 부문은 7%에 불과하다.

벌크 전용선 부문은 해운사들의 안정적인 매출을 뒷받침해 줄 수 있다. 대한해운은 지난 1월 초대형 원유 운반선을 4척까지 확대하면서 전용선 부문을 더 확대했다. 대한해운은 1월 30일 GS칼텍스 원유 운반에 추가 투입될 초대형선 ‘SM VENUS2’호의 인수식을 열었다. 이 선박은 향후 5년간 세계 각지에서 국내로 원유를 운반한다. 이에 따라 대한해운이 운영하는 초대형 원유 운반선은 총 4척으로 확대됐고 선박은 GS칼텍스와 에쓰오일에 각각 두 척씩 투입됐다.

일반적으로 선사가 운임 상승의 수혜를 보는 것은 해상 운임이 상승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선박들의 영업이익이 늘어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대한해운은 운임에 노출된 부정기선의 운영 비율이 매우 낮다는 것이 특징이다. 신영증권은 대한해운이 종속기업 대한상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테이너 선박을 실사용자인 SM상선에 시장 가격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대한해운은 향후 해운업계가 마주한 가장 큰 변화인 환경 규제 이슈에도 대응해야만 한다.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를 의무화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협약을 준수하기 위해 대한해운은 지난해 말 기준 관리 선박 56척 중 장치를 탑재한 38척(대한해운 24척, 대한해운엘엔지 5척, 대한상선 9척)의 선박을 운항 중이다. 또 황산화물 배출 규제를 위해 저유황유 사용과 탈황 장치 설치 방안 등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