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예 디자이너 톰 포드, 구찌 패션 명가로 만들다

참신함과 섹시한 감각 가미해
품질 수준 높이고 세련되고 도발적 브랜드로 탈바꿈시켜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구찌⑦

구찌를 패션 명가로 만드는 데 중심 역할을 한 디자이너 톰 포드. 사진출처=톰 포드 인스타그램


구찌 창업자의 손자인 마우리치오 구치는 다시 한번 구찌의 영광스러운 과거를 회복하기 위해 에르메스나 샤넬과 같은 고가의 명품 브랜드로 포지셔닝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구찌는 적자를 면하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투자은행 인베스트코프는 1987년 이후 구찌에 수억 달러를 투자했지만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돌려주지 못해 매각을 고민하기도 했다. 마우리치오는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하버드 법대 출신의 전문 경영인 도메니코 드 솔레와 버그도프 굿맨(미국의 고급 백화점) 출신의 던 멜로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고용했다.

미국 뉴욕 파슨스 스쿨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톰 포드는 패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했다. 그는 패션업계에 몸담기 위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열심히 일했고 열정적으로 도전을 시작했다. 그는 뉴욕에서 활동하던 유명 디자이너 캐시 하드윅에게 한 달 동안 매일 전화를 걸어 인터뷰 약속을 받아냈다. 포드는 하드윅 아래에서 보조 디자이너로 2년간 일했다. 포드는 1988년 마크 제이콥스가 디자이너로 일하는 페리 엘리스에 취업해 2년간 근무했다.

톰 포드, 1990년 구찌 여성복 디자이너로 근무 시작

뉴욕에서 패션에 대한 자신의 재능에 눈뜨게 된 톰 포드는 유럽 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포드는 자신의 패션 스타일이 유러피언 스타일이라고 믿고 있었고 이때 이탈리아에서 일할 미국 디자이너를 물색하던 던 멜로의 눈에 띄게 됐다. 멜로의 제안으로 1990년 포드는 구찌의 여성복 디자이너로 근무하기 시작했고 그의 나이는 29세였다.

포드를 채용한 멜로의 날카로운 안목은 적중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구찌는 가방이나 신발 등 가죽 제품 브랜드가 중심이었고 전혀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신인 포드를 여성복 디자이너로 채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구찌가 옷이 아닌 가방과 신발 위주이다 보니 멜로는 “아무도 구찌 옷을 입는 것을 꿈꾸지 않는다”라고 했다. 멜로는 브랜드를 성장 확장하는 데 여성복 부문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포드라는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1994년 5월 멜로는 구찌의 크리레이티브 디렉터 자리에서 물러났고 버그도프 굿맨 사장에 복귀했다. 인베스트코프는 후임을 찾아야 했다. 인베스트코프 설립자인 네미르 키르다르는 지안프랑코 페레 같은 거물급 디자이너를 영입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인베스트코프는 그런 거물급 디자이너를 감당할 능력이 되지 않았다. 멜로는 후임으로 포드를 추천했다. 인베스트코프의 고문이자 구찌의 이사 센카 토커 역시 포드가 똑똑하고 합리적이며 자기 생각을 잘 표현하고 믿을 만하며 유능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모두 구찌를 떠나는 동안 그는 구찌의 11개 컬렉션을 혼자 디자인한 사람이었다. 구조 조정 기간 내내 인베스트코프를 도왔던 토커는 이렇게 회고했다. “물론 포드가 있었죠. 구찌는 패션 명가가 아니었습니다. 포드가 비로소 구찌를 패션 명가로 만들었어요. 그전에는 아무도 그가 그 정도 위업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포드는 비록 명성이 실추된 브랜드이긴 했지만 처음으로 브랜드의 제품 전체를 온전히 자기 뜻대로 디자인할 수 있게 됐다. “그 누구도 상품 디자인에 신경 쓰지 않았어요. 매출이 너무나 부진해 상품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거든요. 제게 완전한 자유가 주어졌던 거죠.” 구찌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 임명된 포드는 구찌에 참신함과 섹시한 감각을 더해 구찌를 높은 수준의 품질과 세련되고 도발적인 매력의 브랜드로 탈바꿈시켰다.

홀스빗 모카신은 스틸레토(길면서 얇고 굽이 높은 하이힐)로 변화됐고 밝은 컬러의 실크 새틴 셔츠는 몸에 딱 맞도록 재단됐으며 바지는 로 웨이스트 혹은 히프에 걸치는 디자인의 벨벳 소재로 선보였다. 또한 현대 건축가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거장인 찰스 임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옆 라인이 절개되고 금속 디테일이 있는 실크 저지 소재의 드레스를 디자인해 큰 인기를 얻었다.

보그 매거진에 실린 선정적인 구찌 광고


할리우드 스타, 머리부터 발끝까지 구찌 착용

제트족(제트 비행기를 타고 세계 각국을 유랑하는 부유층)들은 발 빠르게 구찌 옷으로 갈아입었고 할리우드 배우 엘리자베스 헐리는 구찌의 검은색 에나멜가죽 부츠와 불량 소녀풍의 페이크 퍼 차림으로 외출했다. 1995년 11월 미국 가수 겸 배우 마돈나는 포드의 실크 블라우스와 허리선이 낮은 바지를 걸친 차림으로 MTV 뮤직 비디오 상을 받았다. 배우 기네스 펠트로의 매끈한 빨간 벨벳 바지 정장에 팬들은 황홀해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니퍼 틸리, 케이트 윈슬릿, 줄리안 무어 등의 스타들도 머리부터 발끝까지 구찌 제품을 착용한 모습으로 도시 곳곳에서 포착됐다. 그들은 일부에 불과했다.

일류 모델들도 무대 밖에서 구찌 옷을 입고 다녔다. 마침내 포드가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포드는 1994년 마케팅까지 맡아 날개를 더 달았다. 그는 광고의 중요성을 알았고 투자도 많이 했다. 구찌는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섹시·여성적·혁신이라는 화두를 각인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그 중심에 포드가 있었음은 물론이다. 그가 2004년 구찌를 떠날 땐 구찌는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 반열에 당당히 올라서 있었다.

성소수자인 톰 포드(왼쪽)와 남편 리처드 버클리. 사진출처=톰 포드 인스타그램


패션업계의 특징 중 하나는 샤넬의 칼 라거펠트, 돌체앤가바나, 마크 제이콥스, 알렉산더 왕, 알렉산더 매퀸, 조르지오 아르마니 등 성소수자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포드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포드에게는 열네 살 많은 리처드 버클리가 있었고 그는 포드의 성공에 큰 역할을 했다. 버클리는 유명 패션 저널리스트로서 우먼즈 웨어 데일리와 보그 옴므 인터내셔널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두 사람은 2012년 대리모를 통해 아들을 출산했고 2021년 버클리는 타계했다. 포드의 인스타그램을 보면 아직도 버클리에 대한 깊은 애정을 옅볼 수 있다. 왜 이렇게 패션업계에는 성소주자들이 많을까. 자신의 생각과 아이덴티티가 확고하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을 덜 받고 디자인 감성 면에서도 일반인보다 더 섬세하고 특별하기 때문이다.

또 패션의 특성상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들 사이에서 추문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고 ‘큰손’ 고객들은 소문에 신경 쓰지 않고 마음 놓고 디자이너들과 친분을 유지할 수 있어 성소수자 디자이너들을 선호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류서영 여주대 패션산업과 교수

자료=사라 게이 포든 ‘하우스 오브 구찌(다니비앤비)’ 등 참조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