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리뷰] 글로벌 ESG 동향
CDP·SBTi 기준 강화, 공급망 탄소 감축 필수로
탄소 배출 감축 관련 인증 기관의 기준이 강화되면서 기업들의 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 탄소 배출 인증 기관인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공통적으로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주요 검증 기준으로 내세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즉 SBTi와 CDP 인증을 받기 위해 기업들이 공급망의 탄소 배출 감축 의무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부합하지 못한 기업들은 제품 판매에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하는 SBTi는 2021년부터 ‘넷 제로’ 검증 수준을 대폭 강화했다. 기존까지는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업의 직접 배출량 (Scope1)과 간접 배출량(Scope2)을 합산해 산업화 시절 대비 기온 상승을 2도 이내에서 영향을 미치는 수준에 부합하면 ‘넷 제로’ 인증을 부여했지만 강화된 검증 수준에서는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3)까지 포함한 전체 배출량을 기준으로 2050년까지 90% 이상 감축하는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또한 5~10년 기준 중기 목표까지 설정해야 한다. SBTi는 현재 기후 변화 대응 목표가 있는 4200개 기업 중 20%가 ‘넷 제로’에 부합하지만 강화된 기준에서는 7개 기업만 부합한다고 한다.
한편 기업의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분석 평가하는 CDP 역시 2021년부터 리더십 등급(A등급)에 대한 기준을 상향 조정하면서 리더십 등급의 기업이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고 밝혔다. CDP는 이번 등급 기준 강화를 공지하면서 실제 온실가스 감축에까지 이르는 관리 시스템 보유 유무가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했다고 보고했다. CDP의 리더십 등급을 받은 기업들을 살펴보면 기후 문제에 대한 관리 감독 시스템과 공인된 탄소 배출 감축 목표가 있고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3)까지 관리하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후 변화 위기에 대한 대응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의 중요 화두가 되면서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경쟁력이던 시절에서 실제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이르는 목표와 시스템이 중요한 시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번 SBTi와 CDP의 검증 수준 강화에 따라 이들의 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까지도 예상되는 시점이다.
주목할 만한 뉴스
싱가포르, 2022년부터 기후·이사회 다양성 공시 의무화(로이터)
- 싱가포르 거래소는 2022년부터 기업들에 기후 관련 보고뿐만 아니라 이사회의 다양성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밝힘
-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과 채권 발행자들은 2022 회계연도부터 지속 가능 보고서에 ‘원칙준수예외설명(Comply or Explain : 원칙을 준수하거나 미준수 시에는 사유를 설명함)’을 원칙으로 기후 변화 관련 정보에 대해 의무적으로 보고를 진행해야 함
- 한편 2023 회계연도부터 에너지 산업·금융·농업·식품·임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은 기후 관련 보고뿐만 아니라 이사회의 다양성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2024 회계연도부터 자재·운송업 등에도 적용됨
- 싱가포르의 기업지배구조자문위원회에 따르면 심사 대상 기업의 이사 3700여 명 중 87%가 남성이고 전체 기업 중 45%의 이사회가 모두 남성으로 구성
IEA, 화석 연료 발전량 사상 최대치 전망 (파이낸셜타임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1년 화석 연료에 기반한 발전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각국 정부에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
- IEA는 기록적인 발전용 석탄 수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대유행 이후 경제 회복에 따른 것이고 에너지 수요가 재생에너지와 저탄소 기반의 에너지 공급을 빠르게 추월했기 때문으로 분석
-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전후해 적극적으로 탈석탄 정책을 추진하던 중국은 전력 부족과 정전을 겪으면서 중국 내 석탄 생산을 확대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따라 석탄 가격이 최근 5년 평균치를 웃도는 모습을 보임
- 2025년부터 시작될 중국 석탄 생산의 단계적 감축 목표와 함께 인도의 재생에너지 투자 계획을 감안하면 각국 정부의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
KB증권 ESG솔루션팀
CDP·SBTi 기준 강화, 공급망 탄소 감축 필수로
탄소 배출 감축 관련 인증 기관의 기준이 강화되면서 기업들의 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 탄소 배출 인증 기관인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공통적으로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주요 검증 기준으로 내세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즉 SBTi와 CDP 인증을 받기 위해 기업들이 공급망의 탄소 배출 감축 의무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부합하지 못한 기업들은 제품 판매에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하는 SBTi는 2021년부터 ‘넷 제로’ 검증 수준을 대폭 강화했다. 기존까지는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업의 직접 배출량 (Scope1)과 간접 배출량(Scope2)을 합산해 산업화 시절 대비 기온 상승을 2도 이내에서 영향을 미치는 수준에 부합하면 ‘넷 제로’ 인증을 부여했지만 강화된 검증 수준에서는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3)까지 포함한 전체 배출량을 기준으로 2050년까지 90% 이상 감축하는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또한 5~10년 기준 중기 목표까지 설정해야 한다. SBTi는 현재 기후 변화 대응 목표가 있는 4200개 기업 중 20%가 ‘넷 제로’에 부합하지만 강화된 기준에서는 7개 기업만 부합한다고 한다.
한편 기업의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분석 평가하는 CDP 역시 2021년부터 리더십 등급(A등급)에 대한 기준을 상향 조정하면서 리더십 등급의 기업이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고 밝혔다. CDP는 이번 등급 기준 강화를 공지하면서 실제 온실가스 감축에까지 이르는 관리 시스템 보유 유무가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했다고 보고했다. CDP의 리더십 등급을 받은 기업들을 살펴보면 기후 문제에 대한 관리 감독 시스템과 공인된 탄소 배출 감축 목표가 있고 공급망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3)까지 관리하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후 변화 위기에 대한 대응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의 중요 화두가 되면서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경쟁력이던 시절에서 실제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이르는 목표와 시스템이 중요한 시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번 SBTi와 CDP의 검증 수준 강화에 따라 이들의 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까지도 예상되는 시점이다.
주목할 만한 뉴스
싱가포르, 2022년부터 기후·이사회 다양성 공시 의무화(로이터)
- 싱가포르 거래소는 2022년부터 기업들에 기후 관련 보고뿐만 아니라 이사회의 다양성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밝힘
-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과 채권 발행자들은 2022 회계연도부터 지속 가능 보고서에 ‘원칙준수예외설명(Comply or Explain : 원칙을 준수하거나 미준수 시에는 사유를 설명함)’을 원칙으로 기후 변화 관련 정보에 대해 의무적으로 보고를 진행해야 함
- 한편 2023 회계연도부터 에너지 산업·금융·농업·식품·임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은 기후 관련 보고뿐만 아니라 이사회의 다양성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2024 회계연도부터 자재·운송업 등에도 적용됨
- 싱가포르의 기업지배구조자문위원회에 따르면 심사 대상 기업의 이사 3700여 명 중 87%가 남성이고 전체 기업 중 45%의 이사회가 모두 남성으로 구성
IEA, 화석 연료 발전량 사상 최대치 전망 (파이낸셜타임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1년 화석 연료에 기반한 발전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각국 정부에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
- IEA는 기록적인 발전용 석탄 수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대유행 이후 경제 회복에 따른 것이고 에너지 수요가 재생에너지와 저탄소 기반의 에너지 공급을 빠르게 추월했기 때문으로 분석
-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전후해 적극적으로 탈석탄 정책을 추진하던 중국은 전력 부족과 정전을 겪으면서 중국 내 석탄 생산을 확대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따라 석탄 가격이 최근 5년 평균치를 웃도는 모습을 보임
- 2025년부터 시작될 중국 석탄 생산의 단계적 감축 목표와 함께 인도의 재생에너지 투자 계획을 감안하면 각국 정부의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
KB증권 ESG솔루션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