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본 경제]소비 심리 개선에 기업 체감 경기 4개월 만에 소폭 반등
입력 2022-08-27 06:00:10
수정 2022-08-27 06:00:11
[숫자로 본 경제]
81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후 소비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기업 체감 경기가 4개월 만에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8월 24일 발표한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실적)는 81로 집계됐다. 7월(80)보다 1포인트 오른 것이다. 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다.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전산업 업황 BSI가 상승한 것은 4개월 만이다. 전산업 업황 BSI는 2월 85에서 3월 83으로 내렸다. 4월 86으로 오른 뒤 5월에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후 6월(82)과 7월(80)에는 연속으로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8월 9일부터 8월 17일까지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2821개 기업(제조업 1662개, 비제조업 1159개)이 설문에 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업황 BSI는 80으로 전월과 같았다. 하지만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업황 BSI가 82로 2포인트 오르며 상승을 견인했다. 한편 9월 전산업 업황에 대한 전망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오른 82를 나타냈다.10조원개인 투자자의 채권 순매수 금액이 10조원을 넘었다. 금리 상승과 안전 자산 선호에 따라 개인 투자자의 채권 매수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8월 24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 22일까지 장외 채권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채권을 10조1834억원어치 순매수했다. 2021년 개인의 채권 순매수 금액 4조5675억원의 2배를 웃도는 규모다. 채권 유형별 순매수액은 회사채가 4조639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은행을 제외한 금융사 채권인 기타 금융채 3조1105억원, 국채 1조2783억원, 특수채 6379억원 순이었다.
금투협 관계자는 “개인 투자자의 연간 채권 순매수 규모가 10조원을 넘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최근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고 금융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개인들의 투자 심리가 안전 자산인 채권으로 쏠렸다는 분석이다. 채권은 발행 주체인 국가·공공기관·기업 등이 망하지 않는 한 만기일까지 보유하면 원금과 이자를 모두 받을 수 있다.100조원올해 상반기에만 나라 살림 적자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세수 호황으로 총수입은 지난해보다 35조원 넘게 늘었지만 추가경정예산(추경) 사업 등으로 총지출이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8월 18일 기획재정부의 ‘재정 동향 8월호’에 따르면 올해 1∼6월 누계 기준 관리 재정 수지 적자는 101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2조2000억원 증가했다. 관리 재정 수지는 통합 재정 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다. 정부는 2차 추경 편성 당시 올해 관리 재정 수지 적자가 110조8000억원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반기에만 10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2분기 적자 확대는 추경 사업 지출 등 높은 총지출 진도율에 기인했다”고 밝혔다.#해시태그 경제 용어
EBOEBO(Employee Buy-Out)는 종업원 기업 인수 또는 종업원 매수라는 말의 영문 머리 글자다. 기존 경영진이 아닌 종업원들이 공동 출자 방식으로 회사를 인수하는 것을 뜻한다. 보통 EBO는 기업이 사업부를 분리하는 식으로 구조 조정을 할 때나 부도 위기에 처할 때 종업원들이 중심이 돼 기업을 인수하는 경우에 시도된다.
이때 종업원들은 임금과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거나 개인 자산을 모아 공동 출자하는 방식을 통해 회사의 인수 자금을 마련하게 된다.
경영진이나 임직원이 기업을 인수하는MBO(Management Buy-Out : 경영자 매수) 방식이나 외부의 제삼자에 의한 기업 인수는 경영진의 의사에 따라 고용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EBO는 종업원들이 기업을 인수하기 때문에 경영진에 의한 해고를 막아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업원 측에서는 확실한 고용 안정, 기존 경영진 측에선 유연한 보상 체계를 통한 비용 감소가 가능해 비효율적인 사업 부문에 대한 구조 조정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81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후 소비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기업 체감 경기가 4개월 만에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8월 24일 발표한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실적)는 81로 집계됐다. 7월(80)보다 1포인트 오른 것이다. 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다.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전산업 업황 BSI가 상승한 것은 4개월 만이다. 전산업 업황 BSI는 2월 85에서 3월 83으로 내렸다. 4월 86으로 오른 뒤 5월에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후 6월(82)과 7월(80)에는 연속으로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8월 9일부터 8월 17일까지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2821개 기업(제조업 1662개, 비제조업 1159개)이 설문에 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업황 BSI는 80으로 전월과 같았다. 하지만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업황 BSI가 82로 2포인트 오르며 상승을 견인했다. 한편 9월 전산업 업황에 대한 전망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오른 82를 나타냈다.10조원개인 투자자의 채권 순매수 금액이 10조원을 넘었다. 금리 상승과 안전 자산 선호에 따라 개인 투자자의 채권 매수가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8월 24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 22일까지 장외 채권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채권을 10조1834억원어치 순매수했다. 2021년 개인의 채권 순매수 금액 4조5675억원의 2배를 웃도는 규모다. 채권 유형별 순매수액은 회사채가 4조639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은행을 제외한 금융사 채권인 기타 금융채 3조1105억원, 국채 1조2783억원, 특수채 6379억원 순이었다.
금투협 관계자는 “개인 투자자의 연간 채권 순매수 규모가 10조원을 넘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최근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고 금융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개인들의 투자 심리가 안전 자산인 채권으로 쏠렸다는 분석이다. 채권은 발행 주체인 국가·공공기관·기업 등이 망하지 않는 한 만기일까지 보유하면 원금과 이자를 모두 받을 수 있다.100조원올해 상반기에만 나라 살림 적자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세수 호황으로 총수입은 지난해보다 35조원 넘게 늘었지만 추가경정예산(추경) 사업 등으로 총지출이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8월 18일 기획재정부의 ‘재정 동향 8월호’에 따르면 올해 1∼6월 누계 기준 관리 재정 수지 적자는 101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2조2000억원 증가했다. 관리 재정 수지는 통합 재정 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다. 정부는 2차 추경 편성 당시 올해 관리 재정 수지 적자가 110조8000억원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반기에만 10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2분기 적자 확대는 추경 사업 지출 등 높은 총지출 진도율에 기인했다”고 밝혔다.#해시태그 경제 용어
EBOEBO(Employee Buy-Out)는 종업원 기업 인수 또는 종업원 매수라는 말의 영문 머리 글자다. 기존 경영진이 아닌 종업원들이 공동 출자 방식으로 회사를 인수하는 것을 뜻한다. 보통 EBO는 기업이 사업부를 분리하는 식으로 구조 조정을 할 때나 부도 위기에 처할 때 종업원들이 중심이 돼 기업을 인수하는 경우에 시도된다.
이때 종업원들은 임금과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거나 개인 자산을 모아 공동 출자하는 방식을 통해 회사의 인수 자금을 마련하게 된다.
경영진이나 임직원이 기업을 인수하는MBO(Management Buy-Out : 경영자 매수) 방식이나 외부의 제삼자에 의한 기업 인수는 경영진의 의사에 따라 고용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EBO는 종업원들이 기업을 인수하기 때문에 경영진에 의한 해고를 막아 고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업원 측에서는 확실한 고용 안정, 기존 경영진 측에선 유연한 보상 체계를 통한 비용 감소가 가능해 비효율적인 사업 부문에 대한 구조 조정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