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렁크‧조수석 없애고 공간 확장, 운전석은 책상으로”

현대차그룹, 16일 ‘UX 테크데이’ 개최
PBV 제품 2025년 개발 목표…공항 픽업 차량 등 다양

UX 스튜디오에 전시된 ‘PBV 엔지니어링 벅’의 내외장. 사진=한경비즈니스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들과 짐을 실어 나르는 데 유용할 수 있도록 조수석 자리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설치했습니다. 탑승 공간은 트렁크까지 넓혀 최대 다섯 명이 탈 수 있게 했죠.”

현대자동차그룹이 2025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공항 픽업용 목적기반 모빌리티(PBV)’ 콘셉트 차량에 대한 설명이다. PBV는 기존 운전자 중심의 자동차 공간을 사용 목적을 위한 맞춤형 구조로 재정의한 이동 수단이다. 다양한 목적에 따라 제작하는 차량인 만큼 실내 공간을 어떻게 확보하는지가 중요하다.

그룹은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UX 스튜디오 서울’에서 ‘UX 테크데이 2022’를 개최했다. 다양한 인테리어 콘셉트와 기술, 사전 제작 모형 등을 전시해 2025년 현대차그룹이 선보이게 될 PBV의 일부 모습을 공개했다.

행사장 1층에선 ‘스터디 벅(나무로 만든 사전 제작 모형)’과 이를 실제로 구현한 ‘엔지니어링 벅’을 전시했다. 엔지니어링 벅은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과 짐을 실어 나르는 ‘공항 픽업용 PBV’를 콘셉트로 개발했다. 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마련했고, 트렁크 공간을 없애 탑승 공간을 넓혔다. 일반 승객뿐 아니라 교통 약자의 탑승 편의를 고려해 휠체어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 폭을 극대화한 도어 시스템 등도 탑재했다.

UX 스튜디오에 전시된 ‘PBV 스터디 벅’(왼쪽). 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마련하고, 트렁크 공간을 없애 탑승 공간을 넓힌 ‘PBV 엔지니어링 벅’ 내부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2층에선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 ‘모드 변환 콕핏’,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등 기술을 소개했다.

먼저 그룹은 미국 MIT 미디어 랩과 공동으로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를 공개했다. 이 기술은 시트가 승객의 몸을 알아서 감지한 후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만들어준다. 불특정 다수의 승객을 태우는 PBV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긴 벤치 모양의 좌석을 승객 수와 체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의 ‘모드 변환 콕핏’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UX)으로 변환해준다. 운전이 가능한 드라이브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바꾸면 운전대가 들어가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운전대가 들어가고 책상이 생기는 셈이다. 또 조명이 은은하게 바뀌거나 공기 청정과 살균 기능, 시트가 뒤로 젖혀지는 ‘릴렉스 모드’ 등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를 제공한다.

현대트랜시스는 사용자별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공개했다. 교통 약자를 위한 생체 신호 분석 기술, 유아를 동반한 가족 승객의 실내 공간 활용성 증대 기술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춰 실내 환경을 최적화한 10가지의 통합 시나리오 모드를 구현했다.

UX 스튜디오에 전시된 현대모비스의 ‘모드 변환 콕핏’(왼쪽).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자율 주행 모드로 바꾸면 운전대가 들어가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나타난다. 사진=한경비즈니스


현대차그룹은 미래 사업 전환 추진 과정에서 PBV의 역할을 강조해오고 있다. 2025년 양산을 목표로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활용한 PBV 전용 모델을 개발 중이다. 연간 최대 15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춘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5월 기아는 오토랜드 화성에 PBV 전기차 전용 공장을 신설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양희원 현대차·기아 제품통합개발담당 부사장은 PBV 1위 브랜드로 거듭나겠단 포부를 밝혔다. 그는 “내연기관차 시대에서 현대차그룹이 팔로워 입장이었다면, 미래 모빌리티에선 우리만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한 마음으로 PBV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UX 스튜디오에 전시된 현대트랜시스의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생체 신호 분석 기술을 적용해 헬스케어 기능 등을 제공한다. 사진=한경비즈니스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