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계화의 시대…성공적 해외 진출 위한 5가지 전략

최준영 율촌 전문위원 “시장 선점 중요…확실한 플랜 B도 가지고 도전해야"




“한국인에겐 ‘해외 시장 개척 DNA’가 있습니다. 이런 강점에 철저한 사전 준비가 더해진다면 해외 진출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최준영 법무법인 율촌 전문위원은 최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만나 “1970~1980년대 ‘중동 붐’ 등을 보면 한국인은 새로운 도전을 주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과거 한국 사회는 시행착오에 너그러웠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게 달라진 점”이라며 “한국인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탈세계화 등 최근 국제 상황에 맞는 촘촘한 해외 진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은 서울대 조경학과와 서울대 환경대학원을 졸업한 뒤 문화체육관광부·국회입법조사처를 거쳐 율촌의 글로벌 법률 및 정책 분석가로 일하고 있다. 구독자 32만 명의 유튜브 채널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를 운영하는 파워 유튜버이기도 하다. 최근 출간된 한경 무크 ‘해외 진출 성공 전략, 주목해야 할 7개국 비즈니스 가이드’의 핵심 저자 중 한 명이다.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무역 장벽 강화 등 탈세계화의 흐름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에 따른 공급망 재편이 2023년 산업계의 최대 화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 위원은 “피할 수 없다면 정면으로 부딪쳐야 한다”며 “저항보다 적응하고 시장을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보다 성공적인 해외 사업 성공을 위해 최 위원은 ‘해외 진출 5계명’을 제시했다. △한 곳에서의 성공 경험이 반복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진출할 것이면 과감하게 먼저 하는 것이 유리하다 △장밋빛 전망만큼 철수와 청산에 대해서도 공부하자 △현지 적응과 함께 현지 인력의 한국화에도 주력하자 △젊은 세대의 관점과 판단을 존중하자 등이다.



최 위원은 먼저 “탈세계화 시대에선 한 곳의 성공 경험이 다른 시장에서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앞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처럼 시장과 무역을 맞바꾸는 것을 요구하는 규제가 유럽연합(EU)과 중국 등 다른 주요국에서도 등장할 것”이라며 “국가별 상황에 따른 맞춤형 전략이 꼭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최 위원은 ‘속도’를 주문했다.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결정했다면 경쟁사보다 먼저 진출해야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 위원은 “경쟁사보다 좋은 입지와 양질의 노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그래야 사업 초기부터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 진출 시 철수·청산 방안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불가피하게 현지 사업을 정리해야 할 때 분쟁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 위원은 “손해를 최소화해야 향후 재도약·재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확실한 플랜 B를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방탄소년단(BTS), ‘오징어 게임’, ‘기생충’ 등 K-콘텐츠의 인기는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에 큰 호재라고 최 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세계 많은 이들이 한국 문화와 한국어에 관심을 갖고 즐긴다”며 “한국 기업에 세계 어느 곳에 진출해도 현지에서 환영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지에서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인력도 수월하게 확보할 수 있다”며 “기업의 현지 적응과 함께 현지 인력의 한국화에도 신경 쓴다면 사업의 효율성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최 위원은 “젊은이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임원 등 기성세대들이 과거 해외에 진출할 때 사용했던 방식은 더는 통하지 않는다”며 “현지 인력도 대부분 20~30대로 구성되는 만큼 젊은 직원들이 제안하는 소통 방식, 공감대 형성 방안 등을 주의 깊게 듣고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진석 한국경제 기자 iskra@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