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조원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가 만들어진다. 경제의 버팀목이자 국가 안보 자산인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칠 계획이고 삼성전자는 2042년까지 향후 20년간 이곳에 300조원을 투자한다.
시스템 반도체는 비메모리에 해당하고 산업을 구성하는 기술은 로직(주문형 반도체)·마이크로프로세서(CPU·MCU 등)·아날로그(PMIC·터치컨트롤러 등)·광학·소자·센서 등 다양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3월 15일 국가와 기업의 성장 엔진이자 경제 안보를 위한 전략 자산인 첨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반도체 등 6개 산업에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 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投資特國), 통상 역량 강화 등 6대 국가 총력 지원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산업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용인을 국가 산단 후보지로 선정해 반도체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삼성전자는 경기 용인시에 710만㎡(약 215만 평)를 활용해 시스템 반도체 중심의 첨단 반도체 제조 공장 5개를 구축하고 최대 150개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연구 기관 등 유치해 제품‧기술 개발 협력에 나선다. 300조원 투자를 통한 직간접 생산 유발 규모는 700조원, 고용 유발 효과는 160만 명으로 추정된다.
한편 삼성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향후 10년간 비수도권에 60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지역은 충청·경상·호남 등에 있는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첨단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등 제조업 사업장 중심이다. 이번 투자 발표는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결정이다.
특히 반도체는 천안·온양 사업장의 차세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량 확충을 위해 시설 투자를 확대한다.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은 난도가 높고 파운드리·소재·장비 분야의 파트너 회사들과 긴밀한 협력이 중요해 향후 한국의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제고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6.0%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미국 노동부는 3월 14일(현지 시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했는데 전년 동월 대비 6.0% 올랐다. 1월 상승 폭(6.4%)보다 줄었고 1년 5개월 만에 기록한 최소 폭이다.
식료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9.5% 올랐고 에너지 물가는 5.2% 상승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5.5% 올랐다. 주거비가 같은 기간 8.1% 오르며 근원 CPI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 노동부는 주거비가 근원 CPI 상승분의 60% 비율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3.3㎡당 3000만원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두 달째 3.3㎡당 3000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3월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2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3044만5800원이다. 1월 말 자료(3063만원)에 이어 두 달 연속 3000만원대다.
수도권 기준으로 3.3㎡당 분양가는 전년 동월 대비 1.02% 줄어든 2132만7900원이다. 5대 광역시·세종은 같은 기간 11.06% 오른 1627만3200원을 기록했다. 강원·충북·충남 등을 포함한 기타 지방은 12.63% 상승한 1295만5800원이다.
2월 서울 신규 분양 민간 아파트 물량은 775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3832가구, 5대 광역시와 세종은 1803가구, 기타 지방은 1082가구다. 전국 기준으로는 6717가구다. 1만2888가구를 기록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48% 급감했다. 해시태그 경제 용어
#뱅크런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로 인해 뱅크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뱅크런은 은행의 대규모 예금 인출을 뜻한다. 은행 건전성에 의문을 가지고 그간 저축해 둔 자금을 인출하려는 예금 고객이 한꺼번에 몰리면 은행의 자금이 바닥나게 되면서 금융 시장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예금보험공사에서 은행이 파산해도 5000만원까지 예금을 보호해 주는 예금자보호법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SVB 사태로 한국에서도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자 금융 당국은 예금 전액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와 시행 절차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에서 SVB와 유사한 사례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제도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
시스템 반도체는 비메모리에 해당하고 산업을 구성하는 기술은 로직(주문형 반도체)·마이크로프로세서(CPU·MCU 등)·아날로그(PMIC·터치컨트롤러 등)·광학·소자·센서 등 다양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3월 15일 국가와 기업의 성장 엔진이자 경제 안보를 위한 전략 자산인 첨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반도체 등 6개 산업에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 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投資特國), 통상 역량 강화 등 6대 국가 총력 지원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산업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용인을 국가 산단 후보지로 선정해 반도체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삼성전자는 경기 용인시에 710만㎡(약 215만 평)를 활용해 시스템 반도체 중심의 첨단 반도체 제조 공장 5개를 구축하고 최대 150개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연구 기관 등 유치해 제품‧기술 개발 협력에 나선다. 300조원 투자를 통한 직간접 생산 유발 규모는 700조원, 고용 유발 효과는 160만 명으로 추정된다.
한편 삼성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향후 10년간 비수도권에 60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지역은 충청·경상·호남 등에 있는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첨단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등 제조업 사업장 중심이다. 이번 투자 발표는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결정이다.
특히 반도체는 천안·온양 사업장의 차세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량 확충을 위해 시설 투자를 확대한다.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은 난도가 높고 파운드리·소재·장비 분야의 파트너 회사들과 긴밀한 협력이 중요해 향후 한국의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제고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6.0%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미국 노동부는 3월 14일(현지 시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했는데 전년 동월 대비 6.0% 올랐다. 1월 상승 폭(6.4%)보다 줄었고 1년 5개월 만에 기록한 최소 폭이다.
식료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9.5% 올랐고 에너지 물가는 5.2% 상승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5.5% 올랐다. 주거비가 같은 기간 8.1% 오르며 근원 CPI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 노동부는 주거비가 근원 CPI 상승분의 60% 비율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3.3㎡당 3000만원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두 달째 3.3㎡당 3000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3월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2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3044만5800원이다. 1월 말 자료(3063만원)에 이어 두 달 연속 3000만원대다.
수도권 기준으로 3.3㎡당 분양가는 전년 동월 대비 1.02% 줄어든 2132만7900원이다. 5대 광역시·세종은 같은 기간 11.06% 오른 1627만3200원을 기록했다. 강원·충북·충남 등을 포함한 기타 지방은 12.63% 상승한 1295만5800원이다.
2월 서울 신규 분양 민간 아파트 물량은 775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3832가구, 5대 광역시와 세종은 1803가구, 기타 지방은 1082가구다. 전국 기준으로는 6717가구다. 1만2888가구를 기록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48% 급감했다. 해시태그 경제 용어
#뱅크런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로 인해 뱅크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뱅크런은 은행의 대규모 예금 인출을 뜻한다. 은행 건전성에 의문을 가지고 그간 저축해 둔 자금을 인출하려는 예금 고객이 한꺼번에 몰리면 은행의 자금이 바닥나게 되면서 금융 시장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예금보험공사에서 은행이 파산해도 5000만원까지 예금을 보호해 주는 예금자보호법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SVB 사태로 한국에서도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자 금융 당국은 예금 전액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와 시행 절차를 검토하고 있다. 한국에서 SVB와 유사한 사례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제도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수진 기자 jinny061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