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세대일수록 한국 사회 어둡게 전망···10명 중 3명만이 ‘다시 태어나면 한국 선택’

성인남녀 10명 중 3명 ‘중산층이라 생각’···중산층 늘리려면 집값 안정화(57.2%, 동의율), 지속적인 성장 정책(53.3%), 복지 정책 확대(51.9%)해야

10명 중 8명, 한국은 돈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성인남녀 10명 3명이 스스로 중산층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이는 스스로가 하류층에 해당된다(41.7%)고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으로 구분될까. 중산층을 정하는 기준으로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에 따라 정해진다(84.5%/중복응답)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현금보유량(59.3%), 직업(50.5%)이 뒤를 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전 조사 대비 현금 보유량(45.1%(2017) → 53.6%(2021) → 59.3%(2023))과 직업(29.3%(2017) → 48.6%(2021) → 50.5%(2023)) 등 실물 자산과 수입을 응답한 비율이 소폭 증가한 점이다. 반면 타인에 대한 태도(11.7%, 중복응답), 도덕·사회 규범에 대한 태도(11.5%)에 의해 중산층의 여부가 결정된다는 인식은 낮은 수준으로 계층을 결정하는 데 사회적 규범보다 경제적 능력이 더욱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응답자 대부분, ‘한국, 돈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로 인식’
응답자 10명 중 8명은 ‘한국 사회는 돈이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산층의 삶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었지만(55.2%) 불안정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해당 계층으로의 진입조차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도 했다. 응답자들은 한국을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나라(27.5%, 동의율), 중산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많은 나라(20.7%)로 평가하기보다 한 번 가난해 지면 평생 가난하게 살고(51.0%) 더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은 불가능하다(51.3%)는 의견이 두 배 이상 높았다.

향후 자녀세대의 계층상승은 자유로울 것 같다(14.4%, 동의율)고 생각하는 사람들 역시 극히 드물어 계층 간 이동은 어렵다고 전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계층 이동이 어렵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없는 한국사회의 모습은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58.3%)이 중산층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한국사회가 그만큼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말했으며, 이에 우리사회의 중산층은 앞으로 더욱 줄어들 것(58.1%)이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계층 이동의 문제는 제도가 아니라 개인의 노력에 달려있다는 시각은 26.8%에 불과했다.



10명 중 8명, 빈부격차 앞으로 더 커질 것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80.5%)은 앞으로 우리사회의 빈부격차 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답했다. 한국 사회는 상류층, 하류층만 있을 뿐 중산층이 줄어들고 있다는 응답도 58.5%에 달했다. 이에 따라 양극화된 사회에서 힘든 사람만 더 힘들어지고(72.1%, 동의율) 한국 사회에서 더 이상 장밋빛 비전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52.7%)는 응답도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주목할만한 점은 저연령층일수록 한국 사회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20대 56.4%, 30대 55.6%, 40대 49.6%, 50대 49.2%) 향후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2030 젊은 세대가 상대적으로 미래에 대한 절망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를 보여주듯 전체 응답자 10명 중 3명(31.7%)만이 다시 태어난다면 우리나라에서 태어나고 싶다고 답했으며 기회가 생긴다면 언제든지 외국으로 이민을 갈 의향이 있다(40.2%(2021) → 48.0%(2023))는 응답은 이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불평등이 증가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중산층 비율이 낮아지고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보니 중산층이 늘어날 필요성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이 많아져야 국민이 행복해지며(62.7%, 동의율), 우리나라의 중산층이 전체적으로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68.0%에 달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방안으로는 집값 안정화(57.2%, 동의율), 지속적인 성장 정책(53.3%), 복지 정책 확대(51.9%) 등을 꼽고 있어 국가 주도 하에 경제적, 사회적 안정을 되찾는 것이 계층 양극화의 속도를 늦추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