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지하차도 사고 막을 수 있었다”...‘인재’ 지적 곳곳서 나와
입력 2023-07-17 09:56:32
수정 2023-07-17 09:56:41
사고 전부터 위험 신호 감지
아무런 조치 이뤄지지 않아
운행 중인 차량 15대가 물에 잠겨 현재 13명이 사망한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고’는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일한 대처로 일어난 ‘인재(人災)’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고는 15일 오전 8시 40분께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 미호강의 무너진 제방을 타고 하천의 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일어났다.
이미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위험 신호는 감지됐으나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 제방 관리 부실 주장도
제방이 무너져 사고의 원인이 된 미호강에는 15일 오전 4시 10분에 홍수경보가 내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쏟아지는 비로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올라 오전 6시 30분에는 이미 경보 수준보다 높은 ‘심각 수위’까지 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할 행정관청의 위험도로에 대한 차량 통제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금강홍수통제소는 관할 구청에 인근 도로의 교통통제 등이 필요하다고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행정당국이 홍수 경보가 내린 뒤 4시간 30여분이 지나도록 차량통제를 하지 않은 채 손을 놓고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민과 사고 피해자들이 이번 사고를 인재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결국 오전 8시 40분 미호천교 인근의 둑이 유실되면서 하천의 물이 삽시간에 지하차도로 쏟아졌다. 길이 430m의 지하차도 터널은 2∼3분 만에 6만톤의 물로 가득 찼다.
사고 당일 현장에서 구조된 A씨는 “지하차도 앞뒤에서 물이 들어와 수위가 빠르게 높아졌다”며 “침수를 예상하고 지하차도 진입로를 미리 막았더라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사전에 제방관리도 허술했다는 주민들의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장찬교(68) 궁평1리 전 이장은 1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사고가 나기 1시간 전쯤 문제가 된 미호강 철골 가교 사이에 있는 임시 둑을 둘러봤는데 굴삭기 1대가 모래를 긁어모아 둑을 쌓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미호강 제방은 3m 밑으로 강물이 차올라 있어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지만, 임시로 쌓은 둑은 30㎝ 밑까지 물이 출렁였다”며 “큰 모래주머니도 아니고, 긁어모은 모래로 쌓은 제방이어서 무너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송 등에서도 1주일 전부터 장마를 대비하라고 했는데, 이렇게 엉망으로 제방을 쌓은 것이 말이 되느냐”며 “제방을 튼튼하게 쌓았더라면 어제 같은 사고는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방을 허술하게 관리하지 않았더라면 하천의 둑이 터지는 일도 없었고, 사고 또한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한편 지난 15일부터 이어진 배수 작업으로 지하차도 안에 가득찼던 물이 거의 빠지면서 소방당국은 현재 도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소방, 경찰, 군 등 886명이 구조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금까지 오송 지하차도 사고 사망자는 13명, 부상자는 9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