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60만명이 비수도권 떠나
비수도권 시도, 세종 제외 순유출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에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향한 20대 청년이 6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13∼2022년 서울·경기·인천의 20대 순이동 인구는 59만1000명이었다.
순이동 인구란 지역의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수치를 뜻한다. 지난 10년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인구가 59만명을 넘었다는 의미다.
서울로 순유입된 20대 인구는 34만1000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유입 인구는 10년 전인 2013년 2만1000명에서 2019년 4만8000명까지 늘어났다. 이후 2021년 3만6000명까지 줄었다가 지난해 5만4000명으로 늘었다.
10년간 인천으로 순유입된 20대는 1만5000명, 경기는 23만5000명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을 보면 경남에서 20대 10만5000명이 순유출돼 17개 시도 중 10년간 가장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경북이 9만명, 전남과 전북이 각각 7만600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대구(-6만6000명), 부산(-5만5000명), 광주(-3만4000명) 등의 광역시에서도 20대 인구가 순유출을 기록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 가운데 세종(3만4000명)만이 유일하게 순유입을 기록했다.
20대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향하는 이유로는 취업과 학업 등이 꼽힌다.
한국은행은 최근 ‘지역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청년층의 지역 이동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청년층의 이동이 경제적 요인인 고용률·경제성장률 등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2015년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임금·고용률·성장률 격차가 커지면서 청년의 비수도권 유출도 심화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문화 및 의료서비스 등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차이가 큰 점도 수도권 집중의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