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벤치마킹 했지만..." 저PBR주식, 반짝 테마주 될 수도
입력 2024-02-05 11:29:17
수정 2024-02-05 11:29:17
그간 저평가된 일부 종목의 주가가 급등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의하면 KB금융 주가는 종가 기준 지난 2일 1월 26일 대비 3.23% 급등했다. 동기간 하나금융지주와 신한지주 24.64%, 13.82% 상승했다. 업종별 주간 상승률은 보험 23.24%, 금융업 15.07%, 운수·장비 13.25%, 증권 11.89% 등이다.
이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진 탓이다. 지난달 17일 윤석열 대통령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PBR이 낮은 기업의 몸값을 올리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에 정부는 이번 달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PBR, ROE·자기자본수익률 등)을 시가총액 및 업종별로 비교 공시할 예정이다. 저PBR기업은 스스로 경영 개선 방안을 밝혀야 한다. 또 기업가치 개선 우수기업 등으로 구성된 ETF(상장지수펀드)를 도입할 계획이다.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이다. PBR이 1배 미만이면 회사가 보유자산을 모두 매각하고 사업을 청산할 때보다 주가가 더 낮게 형성된 상태다. 시가총액이 보유자산보다 적은 것이다. 금융·보험·지주사가 대표적 업종이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일본의 정책을 벤치마킹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4월 도쿄증권거래소(TSE)는 PBR 1배 미만인 상장사에 주가 상승 개선안을 마련하게 했다. 이에 NHK에 의하면 지난해 말 닛케이평가주가 종가는 3만3464엔으로 2022년 말 대비 28.2% 상승했다. 또 저PBR 기업 수가 2022년 4분기 대비 180개가 줄었다. 비중으로 따지면 50.6%에서 45.8%로 감소했다.
위 같은 정책이 일본과 같은 효과를 낼지는 미지수라는 의견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한국과 일본증시의 구조적 차이점을 지적했다. 일본기업은 현금성 자산이 많아 배당·자사주 매입 소각 등 낮은 PBR을 개선할 여력이 컸다. 그러나 국내 기업은 현금성 자산이 비교적 적다는 분석이다.
이에 일본의 사례를 그대로 적용하기보다 우리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업입장에선 저PBR 기업으로 낙인 찍히는 부담감이 있으며, 또 정부의 규제로 저PBR일 수밖에 없는 일부 산업들도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이투자증권 이웅찬 애널리스트는 "저PBR주 문제를 제기한 정부의 정책은 장기적으로 한국증시의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적합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면서도 "그럼에도 최근 저PBR 가치주의 주가 급등은 과도한 부분이 있다"고 짚었다.
그는 "지금까지 투자자들은 수년간 가치주를 패대기치더니 이번에는 저PBR 주식을 마치 초전도체 테마주처럼 매수하는 모습"이라며 "저PBR주에 투자하더라도 실제 정책 개선의 수혜를 받아 주주환원이 확대되고 지배구조 개선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여지가 있는지, 개선될 여지가 없는데 단지 밸류에이션상의 숫자가 낮아서 올랐는지 판단하고 투자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