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로 먹고 살래요" 프리터족이 늘고 있다


국내에 '프리터족'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터족은 자유롭다는 뜻의 ‘free(프리)’와 ‘arbeither(아르바이트)’, ‘族(족)’의 합성어로, 특정한 직장 없이 아르바이트로만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다.

1990년대 초반, 일본 경기 불황에 정규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이 아르바이트만 전전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해당 신조어가 탄생했고, 이후 아르바이트로만 생활하는 청년층을 일컫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프리터족은 돈을 수단으로 생각하며, 직장 등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삶을 꿈꾼다.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돈을 얻을 정도로만 일하고 쉽게 일자리를 바꾸거나 떠난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통계청 조사 결과, 국내 파트타임 근로자(주 30시간 미만 근로) 비중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4.2%p 늘었다. 2018년 12.2%였던 근로자 비중이 2019년 14.0%, 2020년 15.4%, 2021년 16.1%, 2022년 16.4%로 매년 증가 추세다.

또 키워드 분석 사이트 '썸트렌드' 집계에 따르면, 지난 1월 13일부터 지난 12일까지 한 달간 온라인상에서 '프리터족'을 검색한 양은 전년 동기 대비 145.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터족에 대한 청년층의 인식도 긍정적이다. 구인·구직 플랫폼 인크루트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국내 성인 71%가 프리터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본인이 원하는 삶을 사는 것이기 때문’(46.1%), ‘사회생활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어 건강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22%), ‘취미생활 등에 많은 시간을 쓸 수 있어서’(17%) 등을 꼽았다.

앞으로 프리터족이 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51.5%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30대가 54.3%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20대 응답자도 51.9%에 달했다.

‘내가 원할 때만 일하고 싶어서’(32.1%), ‘여러 가지 일을 해보고 싶어서’(18.5%), ‘조직 생활이 답답해서’(18.2%) 등의 이유였다.

프리터족이 늘어난 배경으로는 1인 청년 가구의 증가와 고용환경 악화, 사라진 평생 직장 개념 등이 꼽힌다. 양질의 일자리가 감소하자 불확실한 미래 대신 현재를 즐기자는 인식으로 변화했고, 옛 세대처럼 안정적으로 돈을 벌어 가족을 지탱하는 대신 개인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이들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