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에서 늘어난 취업자 가운데 여성의 비율이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자 수는 17개월 연속 감소했다.
2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최근 고용시장의 주요 특징은 ▲여성 취업자의 약진 ▲단시간 근로자 비중 확대 ▲청년 고용 부진 등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증가한 취업자 32만7000명 중 92.7%에 해당하는 30만3000명이 여성이었다. 최근 3년간 늘어난 취업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0대·고학력·기혼 여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 확대로 가정에서 육아 또는 가사에 전념하는 소위 '남성 전업주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는 9만8000명 줄었다. 특히 청년 취업자는 2022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17개월 연속 감소했다. 최근 10년 간 최장기간 감소 기록이다.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는 청년 인구감소로, 취업자 감소분 중 인구효과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경총은 “청년 취업자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돼 '숨어 있는 실업자'로 지내는 청년들을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최근 고용시장의 주요 특징은 ▲여성 취업자의 약진 ▲단시간 근로자 비중 확대 ▲청년 고용 부진 등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증가한 취업자 32만7000명 중 92.7%에 해당하는 30만3000명이 여성이었다. 최근 3년간 늘어난 취업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0대·고학력·기혼 여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 확대로 가정에서 육아 또는 가사에 전념하는 소위 '남성 전업주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청년 취업자는 9만8000명 줄었다. 특히 청년 취업자는 2022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17개월 연속 감소했다. 최근 10년 간 최장기간 감소 기록이다.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는 청년 인구감소로, 취업자 감소분 중 인구효과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경총은 “청년 취업자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돼 '숨어 있는 실업자'로 지내는 청년들을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