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가 설명한 수출 성장을 내수가 못따라가는 이유

수출-내수 괴리…"물가 안정을 위한 정상적이고 불가피한 과정"


올해 내수가 충분히 회복하기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2일 KDI는 ‘최근 내수 부진 요인 분석: 금리와 수출을 중심으로’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연구진은 보고서에 인플레이션 안정세를 교란하는 대규모 내수 부양책은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통상 수출 회복은 소득 증가를 통해 내수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현 상황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수출은 회복하고 있으나, 내수는 그 회복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보고서는 최근 내수 회복 지체의 주요인으로 고금리 영향이 거론되고 있음을 감안해 수출과 내수, 금리의 관계를 분석했다. 고금리 장기화는 기업 투자의 기회비용을 상승시켜 투자 수요를 위축시킨다. 또 가계는 높은 수준의 금리로 인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게 된다.

수출 및 금리가 내수에 파급되기까진 시간이 걸린다. 수출 증가는 소비와 투자의 증가로 이어지지만, 즉각적으론 투자에 대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소비에 대한 파급은 더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품수출이 1%p 증가하면 설비투자는 동 분기 최대폭 0.36%p로 증가한다. 이는 상품수출 증가 영향이 설비투자로 시차를 두지 않고 빠르게 파급되는 것을 뜻한다. 해당 분기를 포함해 약 3분기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한편, 상품수출이 1%p 늘면 민간소비는 1분기 후에야 최대 0.07%p 상승한 뒤 약 3분기 후까지 그 영향이 유의미하게 지속된다.

이는 상품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은 즉각 대응해 투자를 확대하지만, 가계는 중장기적 소비 평탄화를 추구해 반응이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책금리 인상의 경우 소비와 투자를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 다만 본격적인 효과가 나타나기까진 약 3~4분기가 소요돼 파급 효과는 상당 기간 지속된다.

이에 보고서는 현재까지의 수출과 금리 흐름이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 올해 내에 내수 위축은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충분한 회복세를 보이진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하반기에 정책금리가 인하된다면 본격적인 영향은 내년에 가시화 된다고 진단된다. 연구진은 최근 내수 회복 둔화세에 대해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한 정상적이고 불가피한 과정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므로 대규모 내수 부양 등의 완화 정책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됐다.

윤소희 인턴기자 ysh@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