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의 사상 최고치 랠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증시는 글로벌 증시 호황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전문위원은 "미국 증시는 물론 유럽 주요 증시와 함께 대만 증시도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며 "연초까지 극도의 부진을 보이던 중화권 증시 역시 강한 반등 랠리를 보여주고 있지만 국내 증시는 예외"라고 밝혔다.
실제 최근 들어 대만 증시와 한국 증시간 차별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5월 21일 종가기준 대만 가권지수는 올해 들어 18.4% 상승한 반면에 코스피지수는 2.6% 상승에 그치고 있다.
대만과 한국간 주가상승률 차별화도 눈에 띄는 부분이지만 대만과 한국간 시차총액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팬데믹기간 중 대만 시가총액이 한국 시가총액을 일시적으로 상회한 적은 있지만 최근처럼 대만 시가총액이 한국 시가총액을 큰 폭으로 상회하고 격차를 확대한 사례는 없었다.
박 위원은 "대만과 한국간 시가총액 격차가 확대되는 배경에는 일차적으로 대장주의 차별적 주가 흐름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대만 증시의 대장주인 TSMC 주가의 경우 올해 들어서만 약40% 이상 급등했지만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0.1% 하락세를 기록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대만 TSMC와 삼성전자간 시가총액 격차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TSMC와 삼성전자간 시가총액 격차 확대는 양사의 경쟁력이 예상과 달리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박 위원은 양국 대장주의 다른 행보와 함께 양국 증시간 차별화 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대미 수출을 들었다. 한국의 대미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보이고 있지만 대만의 대미 수출 증가폭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평가다.
그는 "한국의 대미 수출은 23년 전년 대비 5.4% 증가한 이후 올해 들어 1~4월 중 전년동기 17.7%의 양호한 증가를 유지하고 있지만 대만의 대미 수출은 올해들어 급증하고 있다"며 "2023년 1.6% 증가에 그쳤던 대만의 대미 수출은 올해 1~4월중 전년동기 64% 급증했다"고 밝혔다.
실제 1~4월 대만의 총수출 증가율이 10.8% 임을 고려할 때 대만의 대미 수출 증가폭은 다소 이례적 수준이다.
미국 AI 붐 사이클에 대만 TSMC 등 반도체 업체들이 큰 수혜를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속에 대만이 한국에 비해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큰 수혜를 받고 있음이 한국과 대만 증시간 차별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글로벌 풍요 속에 한국 증시만이 소외 혹은 상대적 빈곤 현상이 나타나는 또 다른 원인에는 AI관련 수혜가 대만에 비해 크지 않다는 점과 더불어 중국 쇼크를 국내 경제와 증시가 상대적으로 크게 받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국과 대만의 대중 수출 추이를 비교해보면 대만보다 한국의 대중 수출의 경우에는 더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대만 모두 중국 경기 둔화라는 공통적 분모는 같지만 한국 제조업의 경우 대만과 달리 중국 제조업과의 경합관계가 심화되고 있고 전기차 및 이차전지 등 일부 첨단산업 부분에서 한국과 중국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도 상대적으로 대만에 비해 한국이 중국 쇼크를 크게 겪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분석이다.
박 위원은 "다행히 최근 들어 중국 경기가 반등하는 등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인공지능(AI) 사이클에 대만 업체들이 한국 업체에 비해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한국과 대만간 차별화 현상 혹은 한국 증시의 소외현상이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22일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전문위원은 "미국 증시는 물론 유럽 주요 증시와 함께 대만 증시도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며 "연초까지 극도의 부진을 보이던 중화권 증시 역시 강한 반등 랠리를 보여주고 있지만 국내 증시는 예외"라고 밝혔다.
실제 최근 들어 대만 증시와 한국 증시간 차별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5월 21일 종가기준 대만 가권지수는 올해 들어 18.4% 상승한 반면에 코스피지수는 2.6% 상승에 그치고 있다.
대만과 한국간 주가상승률 차별화도 눈에 띄는 부분이지만 대만과 한국간 시차총액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팬데믹기간 중 대만 시가총액이 한국 시가총액을 일시적으로 상회한 적은 있지만 최근처럼 대만 시가총액이 한국 시가총액을 큰 폭으로 상회하고 격차를 확대한 사례는 없었다.
박 위원은 "대만과 한국간 시가총액 격차가 확대되는 배경에는 일차적으로 대장주의 차별적 주가 흐름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대만 증시의 대장주인 TSMC 주가의 경우 올해 들어서만 약40% 이상 급등했지만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0.1% 하락세를 기록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대만 TSMC와 삼성전자간 시가총액 격차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TSMC와 삼성전자간 시가총액 격차 확대는 양사의 경쟁력이 예상과 달리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박 위원은 양국 대장주의 다른 행보와 함께 양국 증시간 차별화 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대미 수출을 들었다. 한국의 대미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보이고 있지만 대만의 대미 수출 증가폭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평가다.
그는 "한국의 대미 수출은 23년 전년 대비 5.4% 증가한 이후 올해 들어 1~4월 중 전년동기 17.7%의 양호한 증가를 유지하고 있지만 대만의 대미 수출은 올해들어 급증하고 있다"며 "2023년 1.6% 증가에 그쳤던 대만의 대미 수출은 올해 1~4월중 전년동기 64% 급증했다"고 밝혔다.
실제 1~4월 대만의 총수출 증가율이 10.8% 임을 고려할 때 대만의 대미 수출 증가폭은 다소 이례적 수준이다.
미국 AI 붐 사이클에 대만 TSMC 등 반도체 업체들이 큰 수혜를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속에 대만이 한국에 비해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큰 수혜를 받고 있음이 한국과 대만 증시간 차별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글로벌 풍요 속에 한국 증시만이 소외 혹은 상대적 빈곤 현상이 나타나는 또 다른 원인에는 AI관련 수혜가 대만에 비해 크지 않다는 점과 더불어 중국 쇼크를 국내 경제와 증시가 상대적으로 크게 받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국과 대만의 대중 수출 추이를 비교해보면 대만보다 한국의 대중 수출의 경우에는 더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대만 모두 중국 경기 둔화라는 공통적 분모는 같지만 한국 제조업의 경우 대만과 달리 중국 제조업과의 경합관계가 심화되고 있고 전기차 및 이차전지 등 일부 첨단산업 부분에서 한국과 중국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도 상대적으로 대만에 비해 한국이 중국 쇼크를 크게 겪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분석이다.
박 위원은 "다행히 최근 들어 중국 경기가 반등하는 등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인공지능(AI) 사이클에 대만 업체들이 한국 업체에 비해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한국과 대만간 차별화 현상 혹은 한국 증시의 소외현상이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