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도 한참 뒤처져"…핵심광물 광산 韓 36개·中1992개

韓 생산 자립도는 1%에도 못 미쳐

일러스트=로이터 연합뉴스


우리나라 기업이 소유하거나 지분을 보유한 핵심 광물 광산 수가 미국·중국은 물론 자원이 부족한 일본에도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의 기반이 되는 핵심 광물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지 않으면 향후 공급망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8일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이 보유한 핵심 광물 광산 수는 36개(2022년 기준)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중국(1992개), 미국(1976개)은 물론, 한국처럼 자원 부존량이 부족한 일본(134개)보다도 적다.

이번에 분석한 핵심 광물은 동·아연·연(납)·철광석·니켈·리튬·코발트 등 7종이다. 이들 광물의 해외 의존도는 60~90%에 육박했다. 2차전지 핵심 원료인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중국 수입 비중이 87.9%, 산화코발트와 수산화코발트는 중국 수입 비중이 72.8%에 달했다.

생산 자립도는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전세계 광물 총생산량에서 한국 기업의 생산분(광산 지분율에 따른 생산량)이 차지하는 ‘귀속 생산량’은 동 0.2%, 아연 0%, 철광석 0.4%, 리튬 0%, 니켈 1%, 코발트 1%였다. 일본의 생산 비중은 동 4.1%, 아연 3% 등 평균 2% 이상이었다.

한경협은 핵심 광물이 경제안보와 연결된 만큼 전략적인 관점에서 해외 광산 지분을 늘리고,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기업들은 주로 장기 공급 계약을 방식으로 광물을 조달하고 있는데, 지분 보유를 통한 핵심 광물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핵심 광물을 확보하려면 생산 전 단계부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며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