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인구 감소에도 '그냥 쉬는 청년' 40만명···역대 두번째
입력 2024-06-24 07:58:32
수정 2024-06-24 07:58:37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9개월 만에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쉬는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 대책에도 '그냥 쉬는' 청년은 줄지 않고 여전히 40만명 선을 맴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을 희망하지만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 취업을 접은 '구직 단념' 청년도 올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에 따르면 지난 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1년 전보다 1만3천명 늘어난 39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쉬었음'은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이다.
지난 달 '쉬었음' 청년은 5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2020년(46만2천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4.6%에서 4.9%로 상승했다. 청년 인구가 줄었음에도 '그냥 쉰' 청년은 늘어난 탓이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 폭은 올해 3월부터 축소되는 흐름이 뚜렷했다.
'쉬었음' 청년 감소 폭은 올해 1월 5만6천명을 정점으로 3월 5천명, 4월 1만4천명으로 줄었고, 지난 달 '증가'로 돌아섰다.
지난해 줄어든 구직 단념 청년이 올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8525명)보다 약 1만1천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천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다.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5월 기준으로 2022년 13만6천808명을 기록한 뒤 지난해 약 3만명 줄었지만 올해 다시 늘어났다.
2010년 27만4천명 수준이었던 '쉬었음' 청년은 2020년 64% 늘며 44만8천명까지 증가했다. 이후 2022년(39만명)까지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40만1천명을 기록하며 다시 40만명을 넘어섰다.
청년 인구 감소세에도 '쉬었음' 청년은 올해 들어서도 4월까지 40만∼44만3천명을 오르내리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쉬었음 청년이 증가하는 이유로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팬데믹 이후 고금리에 따른 투자 위축 영향으로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줄었다"라며 "이런 상황이 상용직 취업자 감소, 청년들의 구직 의욕 상실 등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청년 고용률·실업률의 절대 수준 자체는 여전히 좋은 편"이라며 "당분간 상황을 더 지켜봐야 정확한 추이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