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겨울' 현실로…삼성전자 영업익 10조 밑돌며 경영진 사과

메모리 반도체 양극화
범용 D램·HBM 이중 부진 탓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이 직전 분기보다 1조원 가량 줄며 어닝쇼크를 기록했다./한국경제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이 직전인 2분기보다 1조원 넘게 줄며 시장 기대에 한참 못미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삼성전자는 연결기준 올해 3분기 9조1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고 잠정 집계했다.

삼성전자가 8일 발표한 3분기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79조 원, 영업이익은 9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직전 분기인 2분기 대비 6.66%, 지난해 3분기 대비 17.21% 각각 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직전 분기(10조 4400억 원)에 비해 12.84% 줄었다. 다만 반도체 시장이 침체기였던 지난해 3분기(2조4300억 원)에 비해선 284.49% 증가했다. 사업부별 구체적 실적은 이달 말 공개된다.

시장 기대보다 못미친 성적표를 받아들자 경영진은 이례적으로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근원적인 기술경쟁력과 회사의 앞날에 대해서까지 걱정을 끼쳤다”며 “지금 저희가 처한 엄중한 상황도 꼭 재도약의 계기로 만들겠다. 위기극복을 위해 저희 경영진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 기술의 근원적 경쟁력을 복원하겠다. 단기적인 해결책 보다는 근원적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 80조9003억 원, 영업이익 10조7717억 원이었다. 최근 한 달 사이 영업이익 전망 평균이 20% 넘게 하향조정 됐는데도 실제 실적은 이보다 낮았다.

스마트폰과 PC 수요 부진으로 범용 D램이 주춤한 데다 고대역폭 메모리(HBM)에서도 이렇다할 성과를 못내면서 3분기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일회성 비용(성과급)과 파운드리 적자 지속, 비우호적인 환율, 재고평가손실 환입 규모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증권가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의 수익성이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증권사들은 당초 반도체 영업이익이 8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봤다가, 최근엔 5조원대로 전망을 낮췄다. 스마트폰과 PC 수요가 부진한 탓에 반도체 고객사들이 재고를 쌓아두고 지갑을 열지 않고 있어 메모리 출하량과 가격이 기대만큼 오르지 않은 영향이 크다. 반면 AI용 메모리반도체인 HBM 시장에서는 5세대인 HBM3E 제품이 여전히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며 납품이 지연되고 있다.

흑자전환을 기대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은 상반기 조단위 적자에 이어 3분기에도 5000억원 수준의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증권가는 추정하고 있다. 여기에 성과급 및 노조 관련 일회성 비용이 1조5000억~2조원가량 발생하면서 수익성이 더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3분기 반도체 사업 영업이익을 5조원으로 예상한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인공지능(AI) 및 서버용 메모리 수요는 견조하지만, D램 수요의 4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PC 판매 부진으로 메모리 모듈 업체들의 재고가 12~16주로 증가해 메모리 출하량이 감소했다”며 “시스템LSI 실적 개선이 늦어지고, 3분기부터 재고평가손실 환입 규모가 크게 축소돼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 실적 발표 이전 반도체 업계 실적 '풍향계'로 불리는 미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시장 전망치를 뛰어 넘는 실적을 내면서 기대감을 모았지만, 삼성전자는 AI 수요에 올라타지 못하자 다시 '반도체 겨울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4분기 실적 전망도 밝지는 않다. D램 수요의 40%를 차지하는 스마트폰과 PC 등의 수요 둔화가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스마트폰과 PC 업체들은 재고 소진에 주력할 것”이라며 “반면 HBM과 DDR5 등 AI와 서버용 메모리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고 공급은 타이트할 것으로 추정돼 D램 수요의 양극화 현상은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했다.


김영은 기자 kye0218@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