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온라인 소비 1%p 확대 시 취업자 3만4천명 감소"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전망실 전망총괄 "온라인 소비 확대가 전체 고용에 상당 기간 하방압력으로 작용"

(게티이미지뱅크)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높아지면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4천여명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29일 이같은 내용의 KDI 현안 분석을 발표했다.

김지연 총괄은 2011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면세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제외) 대비 무점포소매판매액 비중, 취업자 수 증감 등의 지표를 활용해 온라인 소비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추정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특수 상황과 내수 경기의 영향은 통제했다.

분석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p) 확대되면 연간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4천명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에서 취업자가 2만3천명, 도소매업에서 1만9천명 각각 줄어든 반면 운수·창고업은 8천명 늘었다. 이외 다른 업종에서의 고용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은 자영업자 비중이 커 노동시장을 아예 떠나는 비율이 높을 수 있고, 폐업 후 재창업이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직보다 오래 걸리는 점 등으로 파급효과가 도소매업보다 컸다.

반면 운수·창고업에서는 택배·물류 부문의 일자리 창출로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2017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하면 당해 연도의 상품 물가 상승률은 0.07%p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기간 온라인 소비 비중이 14%에서 27%로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소비가 온라인의 형태로 전환된 점이 같은 기간 상품 물가지수를 2.4% 낮추었음을 시사했다.

소비자물가 품목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소비자물가 지수는 같은 기간 1.1% 낮아진 것으로 추산된다. 온라인 판매 시 유통 단계가 축소되고 매장 유지 비용과 인건비가 절감돼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물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방증이 된 셈이다.

이번 연구결과로 온라인 소비 확대 시 고용은 부정적인 반면. 물가 상승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 총괄은 "온라인 소비 확대가 전체 고용에 상당 기간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재교육 강화 등을 통해 업종의 원활한 전환을 돕고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