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 10명 중 9명은 임금과 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상관없다고 답했다.
희망임금 수준은 '300만원~350만원'을 가장 선호했고, 필수적 복지제도로 '특별휴가', '유연근무', '재택근무' 등을 꼽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는 올해 7월 12∼31일 전국 17개 시도 청년(19∼34세) 중 재직자와 1회 이상 직장 경험이 있는 구직자 40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대다수인 81.9%는 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생활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라고 답했다. '능력을 발휘해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기 위해'라는 응답은 7.6%에 그쳤다.
좋은 일자리의 기준(복수응답)으로는 '임금·복지'(69.2%), '일·생활 균형'(51.2%) 등이 상위에 올랐다.
특히 청년 대다수(87.0%)는 직장 선택 시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복수응답)고 응답했다.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하다'는 응답자는 63%였고, 59.1%는 '임금이 높다면 비정규직이라도 취업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희망 임금수준은 '300만∼350만원'(25.9%)이 가장 많았고, 적정 근무 시간은 '40∼45시간 미만'(50%)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에게 필수적 복지제도(복수응답)를 물은 결과, '특별휴가'(38.5%)가 가장 많았으며, '유연근무'(35.4%), '재택근무'(31.1%) 순으로 이어졌다.
직무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복수응답)은 '적성 및 흥미'(67.7%)였다. 이어 '교육 수준'(54.5%), '기술 수준'(59.4%)순으로 나타났다.
만족스러운 직장을 위한 조건(복수응답)은 임금, 근무시간, 복지제도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전환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재직자의 48.4%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정한 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재학 단계부터 학생들이 수시·경력직 채용에 맞춰 잘 적응할 수 있게 다양한 일 경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경사노위 논의를 통해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