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과반 지갑 닫는다” 내년 가계 소비지출, 물가부담·소득감소 위축
입력 2024-12-19 08:56:58
수정 2024-12-19 08:57:22
대내외 불확실성의 증가로 국내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과반 이상이 물가부담 지속과 경기 침체에 따른 소득 감소와 실직 우려 등을 이유로 2025년 소비지출을 축소할 계획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13일~20일 동안 2025년 국민 소비지출계획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과반(53.0%)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비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해에 비해 평균적으로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1~3분위(하위 60%)는 내년 소비가 올해에 비해 감소하는 반면 4~5분위(상위 40%)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별 소비 양극화가 예상된다.
소득 분위별 내년 소비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1분위(하위 20%)△6.3%, 2분위△4.0%, 3분위△0.1%, 4분위1.1% ▸5분위1.2%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영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반비례해 소비지출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풀이했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지출을 축소하려는 이유로 고물가 지속(44.0%)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다음으로 소득감소·실직 우려(15.5%),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8.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 감소가 예상되는 품목으로는 여행·외식·숙박(17.6%)이 가장 많았고 여가·문화생활(15.2%), 의류·신발(14.9%) 순으로 나타나 야외 활동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음식료품(23.1%), 주거비(전·월세, 전기·가스·수도 등, 18.0%), 생필품(화장지·세제 등, 11.5%) 등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고정적인 지출이 발생하는 필수 소비재 품목을 중심으로 소비지출 증가가 전망됐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고환율·고물가 지속(43.2%),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16.4%), 자산시장(부동산 등) 위축(12.7%) 등을 지적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19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13일~20일 동안 2025년 국민 소비지출계획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과반(53.0%)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비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해에 비해 평균적으로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1~3분위(하위 60%)는 내년 소비가 올해에 비해 감소하는 반면 4~5분위(상위 40%)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별 소비 양극화가 예상된다.
소득 분위별 내년 소비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1분위(하위 20%)△6.3%, 2분위△4.0%, 3분위△0.1%, 4분위1.1% ▸5분위1.2%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영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반비례해 소비지출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풀이했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지출을 축소하려는 이유로 고물가 지속(44.0%)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다음으로 소득감소·실직 우려(15.5%),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8.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 감소가 예상되는 품목으로는 여행·외식·숙박(17.6%)이 가장 많았고 여가·문화생활(15.2%), 의류·신발(14.9%) 순으로 나타나 야외 활동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음식료품(23.1%), 주거비(전·월세, 전기·가스·수도 등, 18.0%), 생필품(화장지·세제 등, 11.5%) 등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고정적인 지출이 발생하는 필수 소비재 품목을 중심으로 소비지출 증가가 전망됐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고환율·고물가 지속(43.2%),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16.4%), 자산시장(부동산 등) 위축(12.7%) 등을 지적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