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각지대에 놓인 ‘생계형 알바’ 대학생들···대책 마련 시급

[캠퍼스 잡앤조이=강홍민 기자/최준형 대학생 기자] 코로나 사태 장기화와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연장으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자영업자가 힘들어지면서 생계형 알바생들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계형 아르바이트생들의 말 못 할 고민들
대학생 중 일명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란 아르바이트를 하며 자취 비용 및 생활비를 충당하는 이들을 뜻한다. 이들은 주로 코로나 사태 속에서 일방적인 해고와 근무 시간 임의 단축 등의 부당 대우를 경험했다. 값비싼 등록금, 높은 월세와 전공 교재 구매 등으로 이미 높아질 대로 높아진 경제적 부담에 아르바이트 해고까지 더해지는 상황이다.
부당한 대우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뷰에 응한 대학생들은 해당 업체 측의 2차적인 불이익 조치를 우려해 전부 익명을 요구했다. 지금부터 취재를 통해 알게 된 갖가지 피해 사례들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소개한다.중국으로부터 물류 중단에 해고서울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A 씨(23)는 겨울방학을 이용해 해외 직구 대행 쇼핑몰에서 알바를 했다. 중국 지역을 전담하는 해당 업체는 코로나 사태로 우한으로부터의 모든 물류가 중단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아르바이트 피해 사례.(사진 제공=한국외대 에브리타임 캡처)
결국 2월 말, 박 씨는 알바생 고용이 어려울 것 같다는 말과 함께 해고 통보를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학교 도서관에서 진행하던 개인 과외도 도서관 폐쇄와 학부모의 요청으로 현재 중단된 상태다. 1학년 때부터 알바 비용으로 생활비를 대신했다는 A 씨는 “갑작스러운 알바 중단으로 어쩔 수 없이 부모님께 손을 벌리는 것이 죄송하다”고 말했다.
△생활고와 취업 준비라는 이중적인 고충을 토로하는 B씨 (사진제공=최준형 대학생 기자)

취업은 멀어지고, 생활비 부담은 늘어가고대학생 B(23)씨는 월세 외엔 생활비, 교통비, 식비, 교재 등 모두 알바 비용으로 충당해왔다. B 씨는 겨울 방학을 맞아 주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공연장에서 알바를 시작했다. 하지만 2월 코로나 사태 이후 갑작스레 알바생 전원 해고 통보를 받았다. 그 이후 운이 좋게도 B씨는 학교 주변 카페에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했지만 이것도 잠시였다. 점주가 갑자기 근로 계약서 상의 근무 시간보다 3시간 적게 근무해 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B 씨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은 이해하지만 한 달 생활비가 5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많이 감소해 당장 생활이나 공부에 많은 지장이 간다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잠정 연기된 한국사 시험 (사진 제공= 한국사능력검정 홈페이지 캡쳐)

B 씨는 생활비 절약을 위해 상대적으로 비싼 월세에도 불구하고 도서관과 학생식당 등의 수혜를 받기 위해 학교 앞에 자취방을 계약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학식이 중단되고 도서관, 열람실 등 학습 공간도 폐쇄되며 이러한 계획은 물거품이 됐다. 현재 취업 준비 중인 B 씨는 “생활비 어려움은 물론이고 자격증 시험과 졸업 시험이 무기한 연기되어 기약 없이 허무하게 공부를 하는 느낌”이라고 밝혔다.그렇다면 점주들의 입장은 어떨까.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 앞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C 씨는 코로나 사태 이후 낮 시간대에 손님이 눈에 띄게 줄었다고 하소연했다. 매출 감소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마감 알바생을 고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고 불가피하게 낮 시간대와 마감 시간 근무 알바생들의 근무 시간을 조금씩 줄이고 직접 일한다고 설명했다. C씨는 알바생들 각자의 상황도 이해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는 만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C 씨는 “다 같이 어려운 상황에서 점주가 나쁜 모습으로만 묘사되는 게 조금 씁쓸하다”고 덧붙였다.생계형 알바생들을 위한 대책 마련 시급코로나로 사회와 경제 전반이 혼란스러운 시국에 상대적으로 생계형 알바생 그리고 대학생들을 위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생활비를 스스로 벌던 대학생들은 당장 생활의 어려움에 직면했고, 채용 연기와 자격증 시험 취소 등으로 이미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던 취업 준비생들에게 설상가상으로 경제적 부담까지 가중되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이들을 위한 대학 자체의 혹은 제도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khm@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