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마음까지 우려내는 ‘찻잔의 격조’

[한경 머니=정채희 기자 l 사진 서범세 기자·각 사 제공 l 도움말 백정림 갤러리 이고 대표·<앤티크의 발견> 저자] 무엇이 담겼느냐만큼 중요한 게 어디에 담겼느냐다. 동양 문화에서 그릇은 자연과 인간의 의·식·주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해 음양오행의 모든 이치가 포함돼 있다고 했다. 차, 어디에 마실 것인가.



서울번드 쓰리코 티포트 세트(쓰리코)
미니멀한 디자인, 단순한 컬러, 매트한 질감이 어우러진 세련된 티포트 세트. 흙에 염료를 섞어 굽는 방식으로 제작돼 내외부 컬러가 동일하며, 사용 중 이가 나가도 살짝 갈면 자연스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광주요 백자 음양각 돋을문 2인 다관 세트(광주요)
순백색을 띠는 은백자의 깨끗함과 단아함이 돋보이는 다관 세트. 돋을문의 현대적인 형태와 곡선으로 백자의 이지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어우러져 멋을 자아낸다.


조선시대 김상 위에 우송 김대희 선생의 백자 티포트.
심플한 라인과 자로 잰 듯한 정확함이 모던함을 느끼게 한다.


조선시대 김상 위에 새해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의 학다완과 우송 김대희 선생의 차통과 화병으로 쓰인 물컵, 그리고 빅토리안 시대의 멋진 스털링 티포트
조선시대의 김상은 말 그대로 김을 재어 올려놓았던 소반으로, 한국의 차나 말차를 낼 때 크기나 높이가 적당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기사는 한경머니 제 176호(2020년 01월) 기사입니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