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기본은 ‘포트폴리오·리밸런싱’

[한경 머니 기고=최보경 SC제일은행 투자전략상품부 차장] 최근 들어 시중은행들이 내놓고 있는 정기예금 금리는 1% 초반대다. 이자소득세와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은행에 돈을 맡기더라도 이자로 돈을 불리는 것이 사실 어려운 수준이다. 이런 저금리 환경에서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최근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마이너스 채권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유로존 채권시장을 대표하는 독일 10년물 채권금리가 -0.7%대까지 하락한 데 이어 프랑스도 마이너스 금리 대열에 합류했다. 우리나라도 제로금리 시대에 접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물론 현재 1.50%인 한국의 기준금리가 0%대로 빠르게 진입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19년 7월 현재 이미 시중 1년 정기예금 금리가 1.60%까지 낮아졌다.

금리가 낮아졌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저금리 환경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투자자들이 저금리를 두려워하는 것은 결국 자산 증식의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이다. ‘72의 법칙’을 떠올려보면 쉽다. 금리가 연 4%라고 가정할 경우, 원금 1억 원이 2억 원이 될 때까지의 기간은 72 나누기 4, 즉 18년이 걸린다. 그러나 1%로 금리가 낮아지면, 원금이 2배가 되기까지 72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환경에서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다. 예금에서 채권으로, 채권에서 주식으로 시야를 넓혀 가야 한다.

투자를 어렵게 하는 변동성
그러나 금융시장에 투자할 경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투자자들을 어렵게 한다. 조금 더 쉽게 말하자면 상승 기대가 있는 만큼 하락(원금의 손실)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투자에 있어서 수익률을 높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성과의 변동성을 줄이는 것이다. 50% 하락한 주가가 원금이 되려면 같은 50%가 아닌 100% 상승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요인들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 역시 부담 요인이다. 브렉시트(Brexit)가 결정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된 2016년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 정치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크게 증가했다. 정치적 이벤트의 특징은 경제적 요인들과 달리 예측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미·중 무역분쟁이 대표적이다. 지난 8월 미·중 양국이 관세 난타전을 벌이며 대응 수위를 높이자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가격이 빠르게 조정을 받았다. 그러나 9월 들어 양국이 협상 의지를 재확인하자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외에 브렉시트, 홍콩 시위, 한·일 무역 갈등 등 다양한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들이 여전히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기 사이클 후반부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처럼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들이 시장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하반기 들어 미·중 무역분쟁 영향으로 글로벌 주식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 글로벌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전 세계 지수가 2019년 1~7월 사이 1%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횟수는 총 15회였다. 그러나 8월 한 달에만 1% 이상 상승·하락한 횟수가 7회에 이른다.

포트폴리오, 변동성에 대응하는 방법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다. 포트폴리오는 ‘서류가방’ 또는 ‘자료수집철’을 의미하는 단어이나 금융시장에서는 다양한 자산에 고르게 투자하는 투자자산의 집합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말 그대로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 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경우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단순히 여러 개의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에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는 것이 포트폴리오의 핵심이다(그래야만 한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다른 자산 가격의 상승이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가 다수의 한국 주식과 중국 주식형 상품에 투자하며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 같은 투자는 적절하게 ‘다각화’ 또는 ‘분산투자’를 했다고 말할 수 없다.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소국 개방경제라는 한국 경제 특성상 대외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주식시장 내 수출 기업 비중이 크고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한국 주식은 중국 경제 및 주식시장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쉽게 말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쉽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와 같이 투자하는 경우, 중국과 관련된 변동성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즉,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해서는 서로 상관관계가 낮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에 고르게 투자해야 한다.


포트폴리오 구축만큼 중요한 리밸런싱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구축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리밸런싱’이다. 리밸런싱은 말 그대로 ‘다시(re) 균형을 맞춘다(balance)’는 뜻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잘 짜인 포트폴리오라 하더라도 금융시장의 가격 변동에 따라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비중이 변화하게 된다. 즉, 한 번 구축한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다각화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없다는 의미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비중을 재조정하는 ‘리밸런싱’이 매우 중요하다.

리밸런싱을 통해 다각화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고평가된 자산은 차익실현을 하고, 저평가된 자산의 비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2017년과 같이 글로벌 주식 전반이 강세를 보인다면, 포트폴리오 내 주식비중이 자연스럽게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일부 주식 비중을 처분해 주식을 원래 수준대로 낮추고, 처분 대금으로 채권 등의 안전자산 비중을 확보함으로써 다시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투자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리밸런싱하는 것을 투자자 혼자서만 하기는 쉽지 않다. 금융시장과 투자 상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혼자 투자할 경우 군중심리에 휩싸여 성급한 결정을 내리기도 쉽기 때문이다. 즉,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금융기관을 통해 투자에 대한 자문과 서비스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예금과 적금에만 의존하고 있었다면, 이제 주거래 금융기관에서 투자에 대한 조언을 한번쯤 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본 기사는 한경머니 제 173호(2019년 10월) 기사입니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