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인도네시아)=공인호 기자] KEB하나은행이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내 최우수 외국계 은행에 올라섰다. 이달 중에는 인도네시아판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론칭을 앞두는 등 핀테크 전도사로서의 역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9월 폐막한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아시안게임이 열린 보름여 간 국내 금융권에서 이목을 끈 금융서비스가 있다. 바로 인도네시아 전용 글로벌 쿠폰몰이다. GLN(Global Loyalty Network)으로 이름 붙여진 이 서비스는 KEB하나은행이 일본은 물론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과 연계해 현지 여행객들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GLN은 ‘글로벌 통합 디지털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추진되는 글로벌 사업으로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밑바탕이 됐으며, 국내 금융사의 해외 진출 혁신 사례이자 글로벌 핀테크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명소 품은 KEB하나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수도인 자카르타 남부에 위치한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망쿨루허루 시티 오피스 타워(Mangkuluhur City Office Tower)에 위치한 이곳에 들어서면 깔끔하게 정돈된 은행 영업점과 함께 바로 옆 ‘하나 라운지(Hana Lounge)’가 고객을 맞이한다. 하나은행이 국내에서도 선보인 바 있는 카페형 영업점으로, 고객들과의 상담은 물론 직원들도 삼삼오오 모여 회의를 진행하는 곳이다.
이화수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장은 “하나 라운지에는 아무 커피 브랜드나 들어올 수 없다”며 “스타벅스와 같은 초대형 프랜차이즈보다는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이 사랑하고 즐겨 찾는 브랜드를 엄선해 제휴를 맺고 있다”고 소개했다. 본점 영업점은 1층과 2층 사이에 ‘메자닌(Mezzanine) 플로어’라 불리는 1.5층이 자리한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주로 기업 고객과 고액자산가들을 위한 프라이빗뱅커(PB)들이 메자닌 플로어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특히 2층에 위치한 고객 전용 엘리베이터는 하나은행의 고객 우선 정책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은행 측은 건물 착공 단계에서부터 회의실과 은행장실이 마련된 고층(9~12층)까지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주문했다. 각종 회의실의 독특한 콘셉트도 눈길을 끈다. 2층 회의실에는 주로 세계적인 강(river)의 이름을 딴 한(Han), 나일(Nile), 미시시피(Mississippi) 등이 위치해 있으며, 11층에는 은행장실과 함께 몽블랑(Mont Blanc), 킬리만자로(Kilimanjaro), K2, 에베레스트(Everest) 등으로 명명된 회의실이 자리해 있다. 이곳 본점 영업점에는 전체 직원 1200여 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본국에서 파견된 인원은 단 10명에 불과하다.
현재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60여 개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쇼핑몰 등에 위치한
2곳은 탄력근무제를 적용해 주말 영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전역에 걸쳐 210여 개에 달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존, 컨테이너뱅킹도 각각
5개씩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컨테이너뱅킹은 컨테이너 안에 ATM 및 전산장비를 구비해 한 달가량 현지 기업 인근에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다.
외국계 최우수 넘어 ‘톱20’ 목표
KEB하나은행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하루가 멀다 하고 다시 그려지는 스카이라인에서 가늠해볼 수 있다. 특히 자카르타 남부 지역에는 KEB하나은행을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이 새롭게 마련된 고층 건물에 속속 둥지를 틀며 화려한 외관을 뽐내고 있다. KEB하나은행도 전체 해외 네트워크인 180여 개(24개국)의 3분의 1가량을 집중할 정도로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사업의 전략적 요충지다.
국내 은행 가운데서는 우리은행(우리소다라은행)과 신한은행(신한은행인도네시아) 등도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있지만 현지 시장의 선봉장 역할을 해 온 KEB하나은행의 입지가 단연 돋보인다. 상대적으로 성숙도가 낮은 금융시장의 경우 조기 안착 여부가 곧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KEB하나은행의 발 빠른 인도네시아 진출이 최대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옛 하나은행은 지난 2007년 현지 은행인 빈탕 마능갈은행을 인수한 뒤 2014년 옛 외환은행 현지법인까지 합병해 30위권 은행으로 급성장했다.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국내 시중은행 격인 상업은행이 120여 개에 달하며 지방은행까지 포함하면 1700여 개에 이를 정도로 금융사들이 난립해 있는 상황. 따라서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은 외국계 은행의 진입 시 현지은행 인수를 필수 조건으로 두고 있다.
그렇다고 조기 진출만이 성공을 담보해주지는 않는다. 국내 금융시장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은행들 역시 동남아 시장에 일찌감치 진출했지만, 결국 현지화에 실패해 해당 법인을 매각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의 성공 요인으로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꼽힌다. 거의 100%에 가까운 현지인 인력 비중뿐 아니라 9월 말 기준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현지인 고객 수는 전체의 90%에 이를 정도다.
성장 속도 역시 눈부시다. 합병 시점인 지난 2014년 7만7000여 명에 불과했던 전체 고객 수는 올해 3월 말에는 4배 수준인 27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당기순이익도 7390억 루피화(IDR)로 2년 만에 2배 가까이 치솟았다.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국내 핀테크 기술을 이전해 생체인식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뱅킹 분야에서도 선도 은행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올해 10월 중에는 인도네시아판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 같은 다양한 노력과 성과에 힘입어 인도네시아 법인은 올해 현지 금융 전문지인 인베스터(Investor)가 뽑은 최우수 은행 및 중대형 은행 그룹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현재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현지 상업은행(BOOK1~4) 120여 개 가운데 중대형 은행인 ‘BOOK3’에 속해 있다. 이화수 법인장은 “오는 2020년까지 자본금 기준 현재(27위)보다 10계단 가까이 오른 톱20 안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인수·합병(M&A) 및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등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며 조만간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한경머니 제 162호(2018년 11월) 기사입니다.]
지난 9월 폐막한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아시안게임이 열린 보름여 간 국내 금융권에서 이목을 끈 금융서비스가 있다. 바로 인도네시아 전용 글로벌 쿠폰몰이다. GLN(Global Loyalty Network)으로 이름 붙여진 이 서비스는 KEB하나은행이 일본은 물론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과 연계해 현지 여행객들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GLN은 ‘글로벌 통합 디지털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추진되는 글로벌 사업으로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밑바탕이 됐으며, 국내 금융사의 해외 진출 혁신 사례이자 글로벌 핀테크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명소 품은 KEB하나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수도인 자카르타 남부에 위치한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망쿨루허루 시티 오피스 타워(Mangkuluhur City Office Tower)에 위치한 이곳에 들어서면 깔끔하게 정돈된 은행 영업점과 함께 바로 옆 ‘하나 라운지(Hana Lounge)’가 고객을 맞이한다. 하나은행이 국내에서도 선보인 바 있는 카페형 영업점으로, 고객들과의 상담은 물론 직원들도 삼삼오오 모여 회의를 진행하는 곳이다.
이화수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장은 “하나 라운지에는 아무 커피 브랜드나 들어올 수 없다”며 “스타벅스와 같은 초대형 프랜차이즈보다는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이 사랑하고 즐겨 찾는 브랜드를 엄선해 제휴를 맺고 있다”고 소개했다. 본점 영업점은 1층과 2층 사이에 ‘메자닌(Mezzanine) 플로어’라 불리는 1.5층이 자리한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주로 기업 고객과 고액자산가들을 위한 프라이빗뱅커(PB)들이 메자닌 플로어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특히 2층에 위치한 고객 전용 엘리베이터는 하나은행의 고객 우선 정책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은행 측은 건물 착공 단계에서부터 회의실과 은행장실이 마련된 고층(9~12층)까지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주문했다. 각종 회의실의 독특한 콘셉트도 눈길을 끈다. 2층 회의실에는 주로 세계적인 강(river)의 이름을 딴 한(Han), 나일(Nile), 미시시피(Mississippi) 등이 위치해 있으며, 11층에는 은행장실과 함께 몽블랑(Mont Blanc), 킬리만자로(Kilimanjaro), K2, 에베레스트(Everest) 등으로 명명된 회의실이 자리해 있다. 이곳 본점 영업점에는 전체 직원 1200여 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본국에서 파견된 인원은 단 10명에 불과하다.
현재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60여 개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쇼핑몰 등에 위치한
2곳은 탄력근무제를 적용해 주말 영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전역에 걸쳐 210여 개에 달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존, 컨테이너뱅킹도 각각
5개씩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컨테이너뱅킹은 컨테이너 안에 ATM 및 전산장비를 구비해 한 달가량 현지 기업 인근에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다.
외국계 최우수 넘어 ‘톱20’ 목표
KEB하나은행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하루가 멀다 하고 다시 그려지는 스카이라인에서 가늠해볼 수 있다. 특히 자카르타 남부 지역에는 KEB하나은행을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이 새롭게 마련된 고층 건물에 속속 둥지를 틀며 화려한 외관을 뽐내고 있다. KEB하나은행도 전체 해외 네트워크인 180여 개(24개국)의 3분의 1가량을 집중할 정도로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사업의 전략적 요충지다.
국내 은행 가운데서는 우리은행(우리소다라은행)과 신한은행(신한은행인도네시아) 등도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있지만 현지 시장의 선봉장 역할을 해 온 KEB하나은행의 입지가 단연 돋보인다. 상대적으로 성숙도가 낮은 금융시장의 경우 조기 안착 여부가 곧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KEB하나은행의 발 빠른 인도네시아 진출이 최대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옛 하나은행은 지난 2007년 현지 은행인 빈탕 마능갈은행을 인수한 뒤 2014년 옛 외환은행 현지법인까지 합병해 30위권 은행으로 급성장했다.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국내 시중은행 격인 상업은행이 120여 개에 달하며 지방은행까지 포함하면 1700여 개에 이를 정도로 금융사들이 난립해 있는 상황. 따라서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은 외국계 은행의 진입 시 현지은행 인수를 필수 조건으로 두고 있다.
그렇다고 조기 진출만이 성공을 담보해주지는 않는다. 국내 금융시장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은행들 역시 동남아 시장에 일찌감치 진출했지만, 결국 현지화에 실패해 해당 법인을 매각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의 성공 요인으로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꼽힌다. 거의 100%에 가까운 현지인 인력 비중뿐 아니라 9월 말 기준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현지인 고객 수는 전체의 90%에 이를 정도다.
성장 속도 역시 눈부시다. 합병 시점인 지난 2014년 7만7000여 명에 불과했던 전체 고객 수는 올해 3월 말에는 4배 수준인 27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당기순이익도 7390억 루피화(IDR)로 2년 만에 2배 가까이 치솟았다.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국내 핀테크 기술을 이전해 생체인식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뱅킹 분야에서도 선도 은행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올해 10월 중에는 인도네시아판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 같은 다양한 노력과 성과에 힘입어 인도네시아 법인은 올해 현지 금융 전문지인 인베스터(Investor)가 뽑은 최우수 은행 및 중대형 은행 그룹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현재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는 현지 상업은행(BOOK1~4) 120여 개 가운데 중대형 은행인 ‘BOOK3’에 속해 있다. 이화수 법인장은 “오는 2020년까지 자본금 기준 현재(27위)보다 10계단 가까이 오른 톱20 안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인수·합병(M&A) 및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등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며 조만간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한경머니 제 162호(2018년 11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