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도 미술관


스 페인의 프라도 미술관은 왕족이나 귀족들에게만 공개가 되었다가 1819년 페르디난도 7세가 프라도 미술관 전시실 2개를 대중에게 공개하면서 일반인들도 왕실의 예술품을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1868년 국립미술관으로 개관한 프라도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작품 중에 오늘날에도 미술사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작품이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이다. 이 작품은 궁중의 일상을 완벽하게 재현해 해석이 명확할 것 같지만 작품 속의 거울 장면 때문에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팔레트와 붓을 들고 벨라스케스는 작업실로 꾸민 알카사르 궁전의 한 방안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다. 그는 자신을 찬미하기 위해 화면 전면에 부각시켰다.

화면 중앙 왕위 계승자인 마르가리타 공주가 시녀들의 시중을 받고 있으며 뒤에는 사제와 수녀는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 두 난쟁이의 화려한 옷차림은 비천한 신분이지만 왕의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입구 옆방으로 이어지는 계단에는 왕비의 시종 호세 니에토가 서 있다.

디에고 벨라스케스(1599~1660)의 이 작품에서 작업실 뒤편에는 대형 그림 두 개가 걸려 있는데 그림 아래 검은 색 프레임으로 된 거울에는 펠리페 4세 내외의 모습이 보인다. 미술사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장면은 거울 속의 국왕 내외의 모습이다. 실제로 국왕 내외가 그림의 모델을 서고 있는 마르가리타 공주를 위로하기 위해 작업실을 찾았지만 국왕 내외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않고 있다. 벨라스케스는 국왕 내외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지만 거울 속의 국왕 내외를 빛으로 둘러싸인 모습으로 표현했다. 빛은 군주의 존엄성을 나타내고 거울은 지혜를 상징하는 도구다. 이 작품에 매료된 파블로 피카소는 58점의 연작을 통해 이 작품을 재해석 했다.

프라도 미술관에서 상상력의 최고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 보쉬의 <쾌락의 동산>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기괴한 물건들은 15세기에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보쉬의 기상천외한 상상력이 돋보이고 있다.

3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왼쪽 패널에서 오른쪽으로 넘어가면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는데 마치 공상 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왼쪽 패널은 에덴동산을 배경으로 아담과 이브가 그려져 있고 붉은 옷을 입은 그리스도가 아담과 이브의 결합을 축하하고 있다. 이 패널의 이야기는 아래에서부터 시작해 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린이나 코끼리 등 진기한 동물은 에덴동산을 상장하고 있으며 장밋빛 분수 안의 올빼미는 암흑과 유혹 그리고 성적 타락을 암시하면서 낙원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앙 패널은 인간의 쾌락을 상징한다. 넓은 정원에서 젊은 남녀들이 옷을 벗은 채 과일을 먹고 있거나, 새나 동물들과 어울리고, 물에서 장난을 치면서 희롱하고 있는 모습들이다.

이 패널에서 가장 특이한 것은 화면 왼쪽 속이 비치는 공안에 있는 남녀다. 유리처럼 환하게 비치는 공은 ‘행복은 마치 유리 같아서 쉽게 깨지고 만다’는 플랑드르 속담을 표현했으며 한 쌍의 남녀는 성적 쾌락을 상징한다. 또한 왼쪽 아래 거품 속에 갇혀 있는 커플과 그 옆에 조개껍질 안에 숨겨져 있는 커플 등을 통해 육체적 쾌락을 직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앙 위 호수 위의 독특한 구조물은 쾌락을 상징하고 있는 탑이다.

마지막 오른쪽 패널은 지옥을 상징한다. 화면 위는 어두운 배경 속에 건물들이 불타오르고 있고 화면 중앙에 하얀색 괴물은 귀를 형상화 한 것으로서 ‘귀 있는 자들은 들어라’는 복음서의 메시지를 암시한다.

히에로니무스 보쉬(1450∼1516)의 이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식물과 동물 그리고 인물들은 쾌락을 상징하고 있는데 성적 쾌락을 좇은 삶은 인류의 영혼을 위협하다는 경고를 담았다.

미술품에 관심이 많았던 스페인 왕가의 계승자들은 열정적으로 유럽의 거장들의 미술품을 구입하거나 예술가들에게 의뢰하고 주문하면서 소장품을 늘려나갔다. 여러 나라에서 사들인 예술품 가운데 플랑드르 회화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는 작품이 브뤼겔의 <죽음의 승리>다.


거대한 해골들은 말을 타고 낫을 들어 인간을 공격하고 있으며 관을 방패삼아 전진하고 있다. 해골은 젊은이 노인, 왕과 추기경, 광대와 하녀 등 모든 사람들을 가리지 않고 공격하고 있다.

화면 오른쪽에는 카드놀이 하는 사람들이 해골들을 피해 도망을 하고 어릿광대는 탁자 아래로 몸을 피하고 있으며 붉은색의 갑옷을 입은 용감한 기사는 칼을 들고 해골들을 공격하고 있다. 오른쪽 끝에 연인들은 뒤에 해골들이 공격하는 것을 모르고 악기를 연주하면서 사랑을 속삭이고 있다.

피터 브뤼겔(1525/30~1569)의 이 작품에서 해골과 큰 낫은 죽음을 상징하고 있으며 칼을 빼어들고 있거나 탁자 밑으로 숨거나 하는 행동은 죽음 앞에서는 무의미한 행동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악기를 연주하는 연인이나 탁자 위의 재물, 카드게임은 헛된 삶을 상징한다. 화면 왼쪽 왕관을 쓰고 있는 왕조차 해골들의 공격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죽음 앞에서는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