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자본가’ 출신의 대표적 기업가 인수 기업마다 대박 내는 M&A 귀재

룽즈젠 중신타이푸 회장

로벌 금융 위기로 세계 각국 부호들이 ‘시련의 계절’을 맞고 있다. 거액의 투자 손실로 재산이 반 토막 난 부호들이 속출하는가 하면 경영 실패를 차마 받아들이기 힘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이도 나타났다.중국 부호들도 예외는 아니다. 중국 최대 기업인 중신타이푸(中信泰富)의 룽즈젠(67) 회장이 대표적. 그는 작년 외환 파생상품 투자 손실로 개인 재산이 30억 달러에서 7억5000만 달러로 75%나 급감했다. 8년 전 재산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2005년 포브스지 선정 중국 부호 1위(자산 16억4000만 달러)였던 그가 작년 54위로 미끄러지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다.투자 손실만이 아니다. 룽 회장은 파생상품 투자 손실의 공시 시점을 일부러 늦춰 주주들에게 피해를 줬다는 의혹에 대해 홍콩 증권감독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가 입은 총손실은 약 147억 홍콩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공시 후 중신타이푸 주가는 70% 떨어지는 폭락세를 보이기도 했다.룽 회장은 그러나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믿는 구석’이 있었기 때문. 그는 바로 베이징으로 날아가 모회사인 중국국제신탁투자공사(약칭 中信그룹, 영어로는 CITIC그룹)에 SOS를 요청했다. 홍콩에서 사업을 일군 지 20년 만에 맞은 첫 실패를 자인해야 했지만 생각보다는 태연한 모습이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룽 회장은 중국 정부가 자랑해 온 대표적인 민영 기업가다.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4차례 이상 맡을 정도로 중국 지도부의 절대적 신뢰를 받아왔다. 궈메이그룹의 황광위가 중국 1대 재벌로 새 별처럼 등장하기까지 그는 중국 최대 부호로 위세를 떨쳤다.그 근간이 된 중신그룹은 약 30년의 역사를 가진 ‘근본 있는’ 기업이다. 고(故) 덩샤오핑 중국 주석이 개혁 개방을 주도할 때 대내외 자금 통로 역할을 했었다. 따라서 중신을 얘기하지 않고는 중국 경제를 논할 수 없다. 중신은행 중신증권 중신국제금융 야저우(亞洲)위성 중신하이즈 중신궈안 등 40여 개 대기업을 보유, 중국 경제계에서 막강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베이징올림픽의 상징이었던 주경기장 ‘냐오차오’도 중신그룹이 지었다.다시 중국 부호 얘기로 잠깐 돌아와 보자. 중국 부호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초등학교도 마치지 못한 자수성가형 △해외 유학파이거나 대학 졸업 후 창업 전선에 뛰어든 인텔리형 △고관대작인 부모나 본인이 일했던 국유 기업의 후광을 업고 부자가 된 태자형이 그것이다. 룽 회장은 태자형에 속한다고 보는 게 맞다. 중신그룹은 룽즈젠의 부친인 고(故) 룽이런 회장이 창업, 기반을 닦았기 때문이다.뿌리를 따지면 할아버지, 즉 룽이런의 부친인 룽더셩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장쑤성 우시 출신의 룽더셩은 열다섯 살 나던 1889년, 형 룽종징이 먼저 자리 잡은 상하이로 건너가 함께 금융업에 뛰어든다. 밀가루 방직기계 등으로 점차 사업을 넓혀갔다. 형제가 생산한 밀가루는 중국 전체 생산량의 29%에 달할 정도로 번창했다. 우시는 진작부터 자본주의 경영이 싹을 틔운 중국 방직산업의 본고장이었다. 룽 씨 형제의 핏속에는 그런 자본가 정신이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하지만 중국의 공산화로 룽씨 가문은 홍콩 대만 독일 등 해외로 흩어지고 말았다. 룽이런과 그 가족만 중국에 남았다. 민족자본에 대한 사명감 때문이었다는 해석이 있다. 룽이런은 이후 공산당 정권에 협력하면서 재기를 모색했다. 건국 초기 공산당 지도부는 이런 룽씨 가문을 존중했고 민족자본 구조조정 작업을 맡기기도 했다. 마오쩌둥은 그를 두고 ‘붉은 자본가(Red Capitalist)라고 불렀다. 하지만 그의 재산은 모두 국유화됐고 평범한 인민으로 돌아갔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자본가로 낙인 찍혀 갖은 고생을 해야 했다.룽이런이 다시 중국 산업계에 모습을 나타낸 것은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직후다. 1979년 1월 덩샤오핑은 중국 시장경제를 이끌 인물로 ‘붉은 자본가’ 룽이런을 불러들였다. 룽이런에게 개혁 개방을 이끌 조직을 만들어 보라고 청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중신그룹이었다. 룽이런과 막역했던 덩샤오핑은 “하고 싶은 대로 해라. 누구든 중신의 업무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독립성을 보장해 주겠다. 당신이 하는 일은 옳기 때문이다”라고 룽이런을 격려했다.룽이런은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돈을 끌어 모았다. 1993년엔 홍콩 런던 도쿄 뉴욕 등에서 20억 달러에 달하는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중신이 없었다면 중국의 개혁 개방이 빨리 진행되기 어려웠을 것이란 평가가 나올 만하다. 룽이런은 이런 역할을 인정받아 1993년부터 5년 동안 국가부주석으로 일하기도 했다.중신의 성공은 룽씨 가문의 해외 네트워크가 발판이 됐다. 룽이런의 사촌 홍칭은 홍콩과 대만에서 섬유 업체로 성공했다. 그는 중국 개방 이후 대륙으로 와 첫 중국·대만 합자은행인 상하이대만저축은행을 설립했다. 룽이런의 조카 즈신은 매사추세츠공대(MIT)를 졸업한 뒤 미국과 홍콩에서 거부가 됐다. 룽씨 일가는 미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 독일 등지 비즈니스계에서 활동하고 있다.이 가문에 1980년대 후반 새 스타가 등장했다. 바로 오늘의 주인공인 룽즈젠이다. 그는 1942년 상하이에서 룽이런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룽이런이 상하이 부시장으로 재직할 당시엔 ‘귀공자’로 컸다. 1959년 톈진대 전기공학과에 입학했을 때도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그러나 문화대혁명은 ‘붉은 자본가’ 집안을 가만 놔두지 않았다. 당시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랬듯이 룽즈젠 역시 지방으로 내려가 민중 속에서 함께 일하는 하방(下放)에 참여해야 했다. 지린성 백두산 부근의 수력발전소에서 ‘귀공자’ 룽즈젠은 죽어라 육체노동을 해야 했다. 그 뒤엔 쓰촨성으로 가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룽즈젠은 그렇게 8년 동안 ‘하방살이’를 했다. 다른 귀공자 출신은 온갖 ‘백’을 동원해 편한 곳으로 자리를 옮기려 했지만 그는 묵묵히 현실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가 가족이 있는 베이징으로 돌아온 것은 1972년. 다행히 부친의 도움으로 정부 조직인 기전부(機電部)의 전자연구소에 배치됐다.그렇게 몇 년을 보낸 룽즈젠은 우시에서 상하이로 건너간 할아버지 룽더셩처럼 상하이에서 홍콩으로 터전을 옮겼다. 룽이런이 갖고 있던 홍콩 회사 지분 100만 홍콩 달러가 첫 사업의 밑천이 됐다. 돈도 사람을 알아보는지 그는 손대는 사업 모두 성공했다. 1978년 홍콩의 한 전자 업체를 인수해 키운 뒤 4년 뒤 미국 회사에 720만 달러를 받고 파는 재주를 보였다. 이 가운데 120만 달러를 떼어내 미 캘리포니아에 CADI라는 컴퓨터디자인(CAD) 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 역시 대박이 나 1년 뒤 미국 회사가 CADI 지분 28%를 인수했다. 1980년대 중반 룽즈젠은 리카싱, 궈하오넨, 리자지 등과 함께 홍콩 실업계의 주목 받는 인물로 성장하고 있었다.1986년 아버지 룽이런은 아들을 불러 중신그룹의 홍콩 자회사 설립을 의논했다. 그때 룽즈젠은 두 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인사 채용의 완전한 자율권 △사사건건 보고가 아닌 포괄 보고를 아버지에게 협상 카드로 내밀었다. 그래서 태어난 것이 중신홍콩이다. 중신그룹이 중신홍콩을 설립한 것은 한편으론 홍콩 경제를 흡수하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베이징 중신그룹의 대주주는 바로 중국 정부이기 때문에 그런 해석이 가능하다.룽즈젠의 첫 도전은 영국계 캐세이퍼시픽항공 지분 인수였다. 주변에서는 모두 말렸다. 1986년 당시 항공업은 매력적인 분야가 아니었다. 시장에선 캐세이퍼시픽 구조조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자산 규모가 워낙 컸기 때문이다. 이사회도 강력히 반발했다. 그러나 아버지 룽이런은 아들을 믿었다. 룽즈젠은 본사에 사업 보고를 했고 중신 본사는 보고 5일 만에 투자를 전격 승인했다. 국무원(정부)은 8억 위안의 매수 자금을 바로 지원해 줬다. 중신홍콩은 이 돈을 종자돈으로 삼아 총 23억 홍콩 달러를 들여 캐세이퍼시픽 지분 12.5%(현재 17.5%)를 손에 넣었다.룽즈젠은 이때를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거의 6개월을 분석했다. 캐세이퍼시픽의 이익 전망은 좋았고 경영 상황도 정비돼 갔다. 그리고 우수한 경영진이 있었다. 이런 점을 베이징 본사에 적극 보고했다.”캐세이퍼시픽 지분 인수를 신호탄으로 룽즈젠은 본격적인 기업 사냥을 시작했다. 1990년 홍콩 제2의 항공사인 드래곤에어를 인수한 데 이어 홍콩전신 지분 20%를 사들였다. 1991년에는 종합 유통 업체인 헝창을 매입했다. 40억 홍콩 달러로 70억 홍콩 달러 기업을 사들인 것이다. 당시 홍콩 경제계에서는 ‘뱀이 코끼리를 삼켰다’고 이슈가 됐었다.1986년 룽즈젠은 홍콩 상장사 하나를 추가로 사들였다. 타이푸(泰富)발전공사라는 회사였다. 이로써 중신홍콩은 홍콩 증시에 우회 상장할 수 있었다. 1991년 타이푸발전공사는 이름을 ‘중신타이푸(中信泰富)’로 바꿔 중신홍콩의 지주회사가 됐다. 현재 철강(특수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 항공, 도로 터널 건설, 전력, 유통, 통신 등의 분야를 거느리고 있다. 상하이와 양저우 등에서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2007년 450억 홍콩 달러(약 6조 원)의 매출에 115억 홍콩 달러의 이익을 올렸다.룽즈젠은 이렇게 ‘홍콩드림’을 완성했다. 왕자 신분에서 거지(하방살이)로 전락했다가 다시 왕좌를 되찾았다고나 할까. 지구상 그 어느 자본주의 국가보다 자본주의적인 중국과 홍콩을 잇는 네트워크가 권좌 회복의 밑거름이 됐다.그는 홍콩에 개인 요트와 삼림을 소유하고 있으며 영국 남부에 성(城)을 갖고 있기도 하다. 매년 여름 친구와 그 가족들을 이 성으로 초청해 휴가를 즐긴다. 이때면 3억 홍콩 달러짜리 개인 비행기를 타고 영국에 있는 성으로 직행한다고 한다.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danielc@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