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ig story] "국내 증시 핵심 변수는 지정학적 불안·글로벌 경제"

    전쟁에 대한 우려로 지정학적 불안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각종 이벤트 등이 발생할 때마다 증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결코 작지 않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이 증시에는 호재로 읽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제 불안이 가시화되면서 증시에는 악재로 작용한다. 최성락 국제금융센터 주식분석부장을 통해 올해 국내 증시에 미칠 해외 변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최성락 국제금융센터 주식분석부장은 올해 국내 증시를 둘러싼 글로벌 호재와 악재 이슈가 공존하는 만큼 주가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올 2~3분기에는 △금리 인하 시기 △경기 사이클 향방 △경제 연착륙 여부 △미국 대선 향방 등을 증시 방향성에 미칠 변수로 지목했다.다음은 최 부장과의 일문일답.올해 국내 증시를 둘러싼 글로벌 이슈에 대한 진단해주신다면요. “올해 가장 중요한 글로벌 이슈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완화 전환과 경제 연착륙 여부입니다. 특히 미 Fed의 통화정책 완화는 달러 약세, 금리 하락 등의 경로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에 우호적 여건을 조성합니다. 경제 연착륙 가능 여부에 따라 경기 침체로 이어질지 여부는 중요한 변수이고, 현재까지 연착륙 가능성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올해 국내 증시는 우호적인 글로벌 여건과 반도체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대체로 양호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글로벌 증시 전체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다는 점은 주가 하락 요인이며, 지정학적 갈등도 위험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전쟁으로 인한 국제유가, 인플레이션 장기화, 경기 침체 등 가장 우려

    2024.01.29 07:03:01

    [big story] "국내 증시 핵심 변수는 지정학적 불안·글로벌 경제"
  • 하반기 글로벌 증시, 강세 기조 유지될까

    올해 2분기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글로벌 지수는 6.9% 상승했다. 미국의 시중금리 상승과 물가 급등이 현실화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지수 측면에서는 5개월 연속 강세 기조를 유지한 것이다. 하반기 글로벌 증시도 이런 흐름이 유지될 수 있을까.최근 신흥국 증시의 강세를 주도한 것은 브라질이었다. 주된 강세 원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서 찾을 수 있는데, 2분기 전 세계 증시의 수익률도 양호했지만 국제 원자재 및 선물조사 회사인 CRB(Commodity Research Bureau)사의 CRB 원자재 지수 수익률은 15.4%에 달했다. 브라질의 주요 수출 품목인 원유의 2분기 수익률은 23.6%, 철광석은 30.6%에 달했다.브라질에 특히 도움이 됐던 것은 중국과 호주의 분쟁이 격화됐다는 점이다. 호주는 전 세계 1위 철광석 생산국으로 그동안 중국은 대부분의 철광석 수입 물량을 호주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양국 간 분쟁이 격화되면서 중국의 전체 철광석 수입 물량 중 호주의 비중은 지난해 62.6%에서 올해 60%(각 연도 1~4월 비교)로 감소했다.반면 같은 기간 브라질은 18.5%에서 20.6%로 증가하는 반사이익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브라질의 무역수지는 1959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원가 부담에 직면한 세계의 공장향후의 부담은 중국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행동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중국은 이미 5월 ‘수출 증치세 환급 제도 폐지(기존 13% 환급)’, ‘지역별 철강 생산량 감축(6월 1일 시행)’ 등의 조치를 시행했다. 그러나 최근 생산자물가의 추가 급등(전년 대비 8.8%)이 확인되면서 보다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이미 최근 중국의 생산자물가 상

    2021.07.26 11:50:42

    하반기 글로벌 증시, 강세 기조 유지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