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가, 약세장의 시작인가 기술적 조정인가

    [머니 인사이트]약세장이 다시 시작되는 것일까, 복원 과정 속의 숨 고르기일까. 시장의 고민이 다시 커지고 있는 듯하다.달러화 강세로 야기된 환율 시장의 변동성은 투자자들의 잠재된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가격’ 변수만 놓고 보면 판단하기는 더욱 어렵다. 지금은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준이 필요하다.새로운 약세장의 시작?패턴만 놓고 보면 미국 기준으로 현재와 가장 밀접하게 움직이고 있는 과거 사례는 크게 네 차례다. 해당 기간의 상관계수는 0.7~0.9에 달한다. 1960~1964년, 1971~1975년, 2006~2010년, 2013~2017년이다.이 중 두 번은 주가의 추가 복원이 전개됐고 나머지 두 번은 또 다른 약세장이 진행됐다. 같은 가격 지표지만 정반대의 사례가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가격 지표에 흔들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추가 약세장으로 이어진 사례는 2008년 금융 위기와 1973~1974년 1차 오일 쇼크다. 두 사례 모두 1년 이상의 경기 침체가 진행된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부채 축소(디레버리징)와 신용 위기, 구조적인 소비 충격이 원인이다.현재는 저점을 확인했고 회복 국면에 있다고 보고 있다. 주가 조정이 저점을 다시 낮추는 약세장으로 연결될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회복 과정에서 경기 논란에 따른 속도 조절과 변동성이 수반되겠지만 급격한 조정 가능성을 낮게 보기 때문이다.이유는 추세적인 약세장의 원인인 ‘깊은 경기 침체(deep recession)’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에서다. ‘부채 위기(debt crisis)’와 ‘신용 위험(credit risk)’이 그 중심에 있다. 부채의 절대 규모가 늘어나고 있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규모는 200

    2022.09.05 06:00:12

    주가, 약세장의 시작인가 기술적 조정인가
  • “무주식이 상팔자” 고점에 물려 속앓이하는 당신을 위하여

    [비즈니스 포커스]#. “내다 팔 것도 없어요. 정리하고 싶은데 다 고점에 물렸어요.” 경기도 화성시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A(34) 씨는 최근 화병이 생겼다. 삼성전자·카카오·하이브·넷플릭스에 아마존까지…. 그때그때 ‘핫’한 주식 종목을 다 사들였는데 효자가 하나도 없다. 물건을 정리하다가도 갑자기 화가 치밀어 오르는 A 씨. ‘그때 팔았더라면…’, ‘그때 왜 샀을까…’ 생각에 잠 못 드는 요즘이다.요즘 주식 투자자들은 다 비슷한 처지다. 투자자들의 입에서 “무주식이 상팔자”란 말이 나올 정도다. 하지만 과거를 후회한다고 돈이 돌아오지는 않는다. 이런 때일수록 시장을 냉정하게 들여다봐야 할 때다. 글로벌 매크로 변수가 안정되기 전까지는 주식 침체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물린 주식에 속앓이하는 당신을 위해 시장의 숱한 침체기와 부흥기의 파고를 겪은 증권사 센터장들에게 ‘오늘을 견디는 법’에 대해 물었다.참을인 3단계(忍忍忍)아무것도 하지 마라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지금이 저가 매수의 기회가 될까’, 혹은 ‘떨어지는 칼날을 잡는 것은 아닐까’ 하는 마음에 갈대처럼 흔들리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그렇다.김승현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공포로 주식을 헐값에 팔아 버리는 투매가 쏟아질 때는 오히려 매수나 매도의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 맞다”며 “우리가 알고 있는 악재들은 이미 주가에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버티는 것이 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기회를 잡고 싶어도 현금 비율이 낮다면 지금은 멈춰야 할 때란

    2022.06.23 06:00:24

    “무주식이 상팔자” 고점에 물려 속앓이하는 당신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