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중국산 앱 주의보...'틱톡' 이어 '핀둬둬'도 경고
미국 정치권이 중국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대대적인 퇴출에 나서고 있다.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이어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에 대해서도 개인정보 유출 의혹을 제기하며, ‘중국산 앱 주의보’를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핀둬둬(拼多多)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 가운데 알리바바(阿里巴巴)와 징둥(京東)에 이어 3위 기업이다. 2015년 설립된 이 기업은 2년 만에 2억여 명의 회원을 확보했고, 2018년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기도 했다.핀둬둬는 2020년 사용자 수 기준으로 7억8800만 명을 기록해 5년 만에 알리바바를 제치고 중국 1위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등극하는 등 승승장구해 왔다. 핀둬둬는 저가 상품을 앞세워 공동구매 등으로 소도시와 농촌 고객을 공략해 성장했다. 핀둬둬의 ‘핀’은 ‘모으다’, ‘둬둬’는 ‘많이’라는 뜻으로 가족, 친구 등을 많이 모아 공동구매를 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핀둬둬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C2M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주요 타깃은 중소도시와 농촌 지역으로, 상품구성기획자(MD) 없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통해 가성비 높은 제품을 발굴해 성공을 거뒀다.핀둬둬는 2022년 9월 미국 시장을 겨냥해 가전용품과 전자제품 등 주요 생활 제품을 초저가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테무(Temu)라는 자회사를 출범시켰다. 테무는 지난해 11월 안드로이드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수 1위를 차지했으며 현재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테무는 핀둬둬가 구축해 온 공급망을 활용해 중국의 제조업체가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하는 방식으로 영업해 왔다. 핀둬둬, 개인정보 침
2023.04.25 13:31:58
-
LH 전세금 지원을 악용한 신종 사기 주의보
[법으로 읽는 부동산]한국에서 은행권이나 비금융권을 불문하고 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을 확실하게 회수하기 위한 방편으로 채무자의 부동산에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방식은 오랜 기간 성행해 왔다.채권자는 대여하기 전에 근저당 부동산에 대해 경매와 배당이 진행되면 자신보다 우선 배당받을 수 있는 다른 채권자가 존재하는지 꼼꼼히 살펴야 하는 것이 기본인데, 해당 부동산에 전입신고를 마치고 실제 살고 있고 임대차 계약서에 확정일자까지 받은 임차인이 대표적으로 우선 배당받는 채권자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그러므로 부동산을 담보로 채무자에게 대여하는 채권자로서는 경매 배당 시 자신보다 우선하는 채권자(임차인)의 존부 및 우선하는 금액(임대 보증금)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이를 위해 임대차계약서·전입세대열람원 등을 채무자에게 필수로 요구한다.그동안 전세금 또는 임대 보증금 사기가 문제된 영역은 매우 다양한데, 그중 임대인(소유자)과 임차인이 가족이나 지인 사이인 경우 소유자에게 대여하려는 채권자에게 그 소유자와 임차인은 ‘무상거주확인서’를 함께 작성해 줌으로써 채권자를 안심시킨 후 실제 경매와 배당에서는 임대 보증금이 상당히 존재하는 내용의 임대차계약서를 제시하며 배당을 요구하는 행태가 꽤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 경매법원에서는 이미 채권자가 제출한 무상거주확인서를 기초로 임차인에게 배당하지 않거나 임차인에게 배당하더라도 채권자는 배당 이의의 소를 통해 임차인에 대한 배당을 막을 수 있었기에 결국 채권자가 실제 거주자로부터 사전에 무상거주확인서를 수령했다면 손해 볼 일은 거의 없었다. 대항력 인정받는
2021.02.02 07:4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