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ook Talk] 가끔은 비효율이 더 나은 세상 만든다

    공상과학 영화나 소설을 보면 대부분 암울한 시대상을 그린다. 로봇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인간미는 찾아볼 수 없다. 2035년을 배경으로 하는 천선란 작가의 <천 개의 파랑>은 이와 달리 낙관적인 시점을 제시한다.  “동식물이 주류가 되고 인간이 비주류가 되는 지구를 꿈꾼다”며 대부분의 시간 동안 늘 상상하고, 늘 무언가를 쓴다는 천선란 작가. 가족의 이름 한 글자씩을 배치한 필명을 사용하는 그녀는 어릴 때부터 소설을 즐겨 썼다고 한다. 2019년 3월 웹소설 플랫폼 ‘브릿G’에 연재한 동명의 소설이 9월에 <무너진 다리>로 출간됐다. 등단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2020년 제4회 한국 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을 받았다고 하니 그녀의 미래가 기대된다. ‘휴머노이드’라는 소재로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그녀. 황폐해진 지구에 사람을 돕는 이야기를 다채롭게 풀어낸다. 과거부터 인공지능(AI) 관련 영화는 지구에 사람이 오히려 해를 끼친다며 인류를 파괴하는 내용이 많았다. 가장 유명한 <터미네이터> 시리즈, 로봇 제3원칙의 문제를 지적한 <아이, 로봇>도. 자연은 순리대로 생성과 소멸을 지속하는데 사람의 이기심이 계산에 실수가 없는 로봇들에게도 위협으로 존재하는 건 아닐까 싶었다.이제 영화에서 인공지능을 다루는 방식이 달라졌다. 영화 처럼 인간보다 감정을 더 풍부하게 느끼거나 <블레이드 러너 2049>처럼 자신이 인간이라고 착각해 지구를 구하려고 한다. 혹은 <월-E>에서 볼 수 있듯 모두가 떠난 지구의 청소를 맡아 되살리는 내용들이다.인공지능의 탄생은 인간을 더 잘 알기 위함도 있지만 ‘효율성’과 ‘안정성&r

    2021.02.26 15:21:25

    [Book Talk] 가끔은 비효율이 더 나은 세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