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지오센트릭, 프랑스에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짓는다
SK이노베이션 화학사업 자회사 SK지오센트릭이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공장을 프랑스에 짓고 유럽지역 순환경제 구축의 전진기지로 삼는다.SK지오센트릭은 프랑스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기업 수에즈(SUEZ), 플라스틱 재활용 해중합 기술보유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이하 루프)와 함께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공장 설립을 위해 프랑스 북동부 생타볼 지역 부지 선정을 완료했다고 2월 17일 밝혔다.해중합 기술은 유색 페트병,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 플라스틱(PET)을 이루는 큰 분자 덩어리의 중합을 해체시켜 플라스틱의 기초 원료물질로 되돌리는 기술이다.3사는 약 4억5000만 유로(약 6200억원)를 투자해 2025년 초 공장 착공에 나서 2027년 완공해 연간 약 7만톤 규모 재생플라스틱(PET) 공급 능력을 갖추기로 했다.이번 부지선정은 2022년 6월 3사가 공동 발표한 플라스틱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 업무협약 계획을 구체화 하는 것이다. 공장 설립은 프랑스 정부, 그랑이스트 주, 생타볼의 지원 아래 진행된다. SK지오센트릭의 석유화학 공정 운영 경험, 수에즈의 폐기물자원 관리 능력과 루프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이 활용된다. 생타볼은 유럽 북동부 인구 밀집 지역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도로 및 철도 등 효율적인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재활용 공장 설립에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 공장 완공 시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신규 일자리 창출 등 고용에도 기여 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이 공장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포장재 및 제품 생산목표를 가진 기업들에게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유럽 환경 규제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재생플라스틱(PET) 수요에도 대응한다. 지금까지 매립, 소각되던 플라
2023.02.17 11:48:21
-
롯데케미칼, 플라스틱 순환 경제 앞당길 프로젝트 루프 2기 출범
롯데케미칼이 1월 19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프로젝트 루프(Project LOOP)’ 소셜벤처 2기 출범식을 열었다고 1월 20일 밝혔다.프로젝트 루프는 폐플라스틱 수거 문화를 개선하고 재활용을 통해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날 행사에는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과 ‘임팩트스퀘어’, 소셜벤처 2기 협약기업인 ‘같다’, ‘이프랜트’, ‘팔월삼일’이 참석해 자원 순환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국내 순환 경제 체계 선도를 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롯데케미칼은 2022년 11월부터 수거, 선별 및 원료화 2개 부문에 걸쳐 소셜벤처 2기를 모집했다. 수거 부문에서 ‘같다’와 ‘팔월삼일’을, 선별 및 원료화 부문에서 ‘이프랜트’를 선발했다.‘같다’는 재활용 수거 플랫폼 ‘빼기’를 통한 폐플라스틱 처리 프로세스 개발을, ‘이프랜트’는 전처리 과정 없이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하는 자체 기술을 통한 해양폐기물 활용 친환경 인공어초를 제작할 예정이다.‘팔월삼일’은 삽탄기, 탈탄기, 탄피받이 등 직접 제작한 플라스틱 군용품의 폐물품 수거 및 재활용을 진행한다.롯데케미칼은 소셜벤처 2기에 선발된 회사들에 사업실현지원금, 전문가 멘토링, 사업 협력 및 판로 연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은 "시범사업과 소셜벤처 1기를 통해 재활용 소재를 PET에서 ABS, PE, PP 등 플라스틱 전반으로 확장하고 있다"며 "이번에 선정된 3개 회사 역시 수거와 선별 및 원료화 부문에서 뛰어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로 리사이클 비즈니스를 확대하기를 기대한다&
2023.01.20 18:36:20
-
한경ESG 11월호 발간…'플라스틱 재활용, 끊어진 순환 고리‘
한경미디어그룹이 발간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문 매거진 ‘한경ESG’ 11월호(사진)가 7일 발간됐다. 정부는 ‘전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내놓으며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20%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일회용 컵 보증제 시행 지역은 대폭 축소됐고, 플라스틱 재활용 현장에는 배출부터 수거, 선별, 재활용까지 각 단계별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쌓여 있는 상황이다.커버스토리에선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 움직임, 수거·선별 과정에서의 문제점, 화학적 재활용에 투자하는 석유화학기업들, 주목받는 웨이스트 테크 스타트업, 생분해 플라스틱의 가능성 등 유용한 정보를 소개한다.또 이번 호에서는 'ESG·수익성' 최고 기업을 확인할 수 있다. 한경ESG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KB증권과 함께 ‘2022년 ROESG 조사’를 실시했다. ESG 경영과 투자의 본질이 ‘지속가능성’에 있는 만큼 기업의 종합적 지속가능성을 수치화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한국의 ROESG 톱 50’이 선정됐다. 종합 1위에 코웨이가 올랐다. 2위는 삼성엔지니어링, 3위는 LG생활건강이 차지했다. ‘2022년 ROESG 조사’에선 처음으로 금융 부문에 대해 평가도 실시했다.ROESG는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와 ESG의 합성으로 두 지표를 곱해 산출한다. 일본의 이토 구니오 히토츠바시대 교수가 시작한 조사로, 재무적 활동과 비재무적 활동의 조화가 기업가치를 장기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게 핵심 아이디어다.이밖에 11월호 ‘스페셜리포트’로 ESG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에 대해 다뤘다. ESG가 도입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실행 단계
2022.11.08 06:00:03
-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화장품 업체와 플라스틱 공병 재활용
[위클리 이슈] 인물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허 사장은 1월 28일 아모레퍼시픽과 친환경 생산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플라스틱 공병의 체계적인 재활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GS칼텍스는 매년 아모레퍼시픽에서 수거한 플라스틱 용기 100톤을 재활용해 친환경 복합 수지를 생산할 예정이다. GS칼텍스가 생산한 친환경 복합 수지는 다시 화장품 용기의 원료로 사용된...
2021.02.01 15:4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