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숨 고르기’ 들어간 해운 시장, 중·장기 계획 그리는 HMM

    [비즈니스 포커스]2022년 해운 시장은 예전과 조금 다른 양상으로 흘러갈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종의 여파로 세계 경제에 변수가 생겨날 가능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선사들이 수요와 공급을 적절히 조절하는 노하우를 터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반기 하향 안정화 예상되는 ‘컨’ 시장상하이항운거래소(SCFI)에 따르면 1월 14일 상하이운임지수는 5094.36으로, 지난주 5109.6보다 15.24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31일 5000을 돌파한 후 3주 연속 5000대를 유지하면서 높은 수준을 이어 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속된 물류 대란의 여파가 아직 가시지 않은 모양새다.  고운임의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 HMM의 실적도 역대 최대치로 예상된다. 금융 정보 제공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가 예측한 HMM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평균 2조1746억원이다. 3개월 전 추정치인 1조5819억원 대비 6000억원 이상 늘어났다. 대신증권은 HMM의 4분기 영업이익을 2조5713억원으로 예측하며 4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다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속해 온 고운임 기조가 2022년에는 다소 가라앉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해 물동량 증가세도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지난해 말 개최한 ‘세계 해운 전망 세미나’에서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는 금리 인상과 재정 지출 축소로 지난해 대비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럽의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오미크론 감염이 급증하며 재봉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로 물

    2022.01.28 06:00:04

    ‘숨 고르기’ 들어간 해운 시장, 중·장기 계획 그리는 HMM
  • HMM만 있나?…‘벌크선 강자’ 대한해운도 있다

    [비즈니스 포커스] 해운업계의 시황이 되살아나면서 모처럼 한국의 해운사들도 휘파람을 불고 있다. 컨테이너 시황을 알 수 있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6월 넷째 주 기준 3785를 기록하며 올해 최고치 기록을 또 경신했다. 상황이 좋은 것은 컨테이너뿐만이 아니다. 글로벌 경기 지표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발틱운임지수(BDI)도 쑥쑥 오르고 있다.컨테이너에 비해 잠시 주춤하던 벌크 시장은 2분기 들어 상승세를 달리고 있다. 6월 넷째 주 BDI는 3177로 전주 대비 51포인트 상승했다. 2분기 들어서는 3000대를 유지하며 안정적 추이를 보이고 있다. 올해 평균 BDI 운임은 2229로 지난해 평균인 1066을 이미 앞질렀다.이러한 상황에서 해운사들도 연일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초대형선 발주로 부활에 성공한 HMM뿐만 아니라 벌크선사들도 올해가 그 어느 때보다 기대되는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유상 증자로 경쟁력 강화 나선 대한해운 SM그룹의 벌크선사 대한해운은 2013년 SM그룹에 편입된 후 30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대한해운의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0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20% 증가했다. 매출액은 2.3% 감소한 2255억원, 순이익은 24% 증가한 529억원이다.대한해운 관계자는 “올해 1분기는 부정기선 운용 선대를 조정하고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대폭 키웠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한해운은 100% 자회사인 대한해운엘엔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또 해외 우량 화주와의 장기 계약을 지속적으로 체결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했다.유상 증자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한해운은 지난 3월 31일 이사회 결

    2021.07.15 06:20:02

    HMM만 있나?…‘벌크선 강자’ 대한해운도 있다
  • 원자재 가격 상승에 주목받는 팬오션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 공산품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의 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158.3% 상승했다. 한국 대표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주가는 같은 기간 272.0% 상승했다. 공산품의 주요 소비처는 선진국이기 때문에 컨테이너선 물동량은 선진국 소비와 밀접하게 움직인다. 미국의 재정 정책이 견인한 공산품 물동량 반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육상 운송과 하역 지연 사태가 컨테이너선의 시황 개선과 운...

    2021.04.07 06:46:02

    원자재 가격 상승에 주목받는 팬오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