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독립? 일부러 안하나요, 못하는거죠” 2021 新캥거루족 보고서

성인남녀 62.8% "캥거루족은 취업난과 불경기로 인한 필연적 현상"
캥거루족 확산에 따른 사회적 논의, 정부 정책 뒷받침 돼야



[한경잡앤조이=장예림 인턴기자] “내집마련은 언감생심, 학원비에 월세부터 부모님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죠.”

올 2월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는 김 모(27)씨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취업의 필수조건이라고 말했다. 스물 한 살에 상경해 자취 8년 차에 접어드는 김 씨는 취업 전까지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그는 “지금 과외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지만, 공과금 내고 식비, 생활비 쓰면 끝”이라며 “자격증 시험에 학원 공부까지 취업 준비를 위한 비용이 커 자력으로 충당이 되지 않는다. 보증금은 부모님이 대주셨고, 월세도 부모님이 부담하고 계신다. 취업해서 자리 잡기 전까지는 지금의 생활이 계속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임용고시를 4번 낙방한 뒤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이 모(30)씨의 사정도 비슷하다. 이 씨는 “대학생 때도 부모님이랑 같이 살아서 지금 생활이 익숙한 것도 있지만, 경제적 독립은 앞으로 근 5년까지 무리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별일 없다면 결혼하기 전까지는 부모님이랑 같이 살 예정이다. 지출을 최대한 줄여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기업의 채용문이 좁아지고 취업불경기가 심화됨에 따라 부모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포기하고 부모의 품에 기대어 사는 ‘캥거루족’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9월, 사람인이 실시한 ‘코로나19 시대 캥거루족에 대한 생각’이라는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남녀 4068명 중 62.8%는 ‘캥거루족은 취업난과 불경기 등으로 인한 당연한 사회현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32.1%는 ‘스스로를 캥거루족이라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중 53.3%는 ‘현재 코로나19와 부동산 정책 등으로 인해 캥거루족의 삶은 더 길어질 것’이라고 답변해 청년 불경기를 실감케 했다.



취업해도 ‘독립 포기’·‘월세 유랑민’ 신세 놓인 청년들

한 유통대기업 2년차 사원으로 재직 중인 신 모(27)씨는 취업과 동시에 회사 근처로 분리독립을 하려 했으나 비용부담의 문제로 독립을 포기했다. 그는 “못 줘도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60만 원 정도는 줘야 여자 혼자 살기에도 안전한 오피스텔 얻는다”며 “보증금은 손 벌린다 셈 치더라도 한 달 월세에 공과금까지 부담할 엄두가 도저히 나지 않아 본가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 이 모(28)씨는 “전세 보증금 마련도 쉽지 않지만 사정에 맞는 전셋집 찾기는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 씨는 “매달 내는 월세가 아까워 전세로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청년주택은 대상자가 아니고 적절한 매물은 회사와 멀리 떨어져 있었다”며 “집 사는건 바라지도 않는다. 지금 사는 월세 계약이 무사히 연장되길 바라는 수 밖에”라며 씁쓸한 현실을 전했다.

이처럼 캥거루족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사회적 양극화의 필연적인 결과’라고 지적했다.

김 모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캥거루족에 대한 문제 논의는 1970년 IMF 금융위기 이후로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그 문제가 더해지고 있다”며 “이는 낙수효과를 기대한 잘못된 조세정책의 결과이자 빈부격차·소득격차가 극심해지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캥거루족은 결국 청년층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적인 양극화의 결과라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 교수는 “미국의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이후의 대처와 마찬가지로 기업의 조세를 감면해주는 금융자유화가 아닌 기본적인 산업의 발전을 통한 생산성 강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캥거루족 확산은 뉴노멀”…‘새로운 가구형태’ 맞는 사회적 논의·주거 정책 뒷받침 돼야

캥거루족 확산 속도에 비해 사회적 논의와 정부 정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영민 청년유니온 사무처장은 “캥거루족에 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원인이나 현상을 짚어보는 사회적인 논의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짚었다.

김 사무처장은 “단순히 캥거루족을 ‘독립 못하는 청년’에 국한해 생각할 것이 아니라 ‘1인가구 정책’처럼 ‘부모와 함께 사는 저소득층 청년들’을 새로운 주거 형태로 인정하고 이를 위한 진전된 정책적 논의가 필요하다”며 “과거와 달라진 생애주기 방식을 이해하고 이에 걸맞는 청년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캥거루족 확산에 따른 세대 간 갈등, 사회적 갈등에 대한 대책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모와 자녀 세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안정된 주거와 육아환경 조성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화 사회, 저성장 시대에 세대 간 갈등을 개인이 개선시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지자체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캥거루족에 맞는 ‘세대통합형 주택’ 등의 주거시설 공급을 확대하는 등 부모와 자녀 세대 간 갈등을 해소하고 각자의 필요부분을 충족한다면 세대 간 상생하는 새로운 가족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jyrim@hankyung.com
[사진=한경DB]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