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사업, 그것이 알고 싶다. - ②

'프라임 사업, 그것이 알고 싶다. - ②취업기관으로 전락하는 대학교

프라임 사업 반대 기자회견에 참석한 단국대학교 총학생회


교육부가 프라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사업을 신청한 단국대학교측의 조치에 학생들이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24일 단국대학교 총학생회는 프라임 사업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취업률을 기준으로 하는 학과 정원감축과 통·폐합을 반대했다. 이날 단국대 총학생회는 프라임 사업의 구조조정이 대학의 본질을 흐린다는 이유와 학교측이 학생들과의 논의하지 않고 사업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프라임 사업을 시행하는 단국대학교 총학생회와 문과대학생회의 의견을 들었다.
프라임 사업이란?산업 수요에 맞게 학과를 통폐합하거나 학과 정원을 조정하는 사업이다.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으로, 입학전형을 최소 100명 이상 조정하는 대학 8개교에 평균 150억 원, 1개교에 최대 300억 원을 지원한다. 두 번째는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이다. 최소 50명 이상 조정한 대학 10개교에 평균 50억 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지난달 31일까지 접수를 마감했다. 최종 결과는 4월 중 발표되며 2018년까지 프라임 사업을 시행하게 된다.

충분한 논의를 진행하지 못하게 만드는 짧은 신청 기간김병열 단국대 총학생회 교육 국장 겸 프라임 사업 대책위원회장은 “실질적으로 우리가 비판해야 하는 것은 학교가 아닌 정부”라고 주장했다. 대책위 회장은 지난 1~2월 학생대표와 학교실무자들이 만나는 회의 테이블에서 처음 ‘프라임 사업’과 관련한 논의를 한 바 있다. 김 회장은 “학교가 학생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기에는 프라임 사업 신청 기간이 너무 짧다”고 토로했다. 프라임 사업 신청 마감일이 3월 31일인데, 정작 학생들은 3월 개강 이후에야 학교에 모습을 나타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앞서, 지난 1~2월 회의 이후 총학생회를 필두로 이들은 ‘프라임 사업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들은 신청 마감일 이전에 최대한 많은 학생의 의견을 듣기 위해 프라임사업 관련 정보를 팸플릿으로 만들어 배포했다. 그 후, 지난 3월 15일 전체 학생총회를 개최했다. 총회에서는 ‘프라임 사업 시행 여부’에 대한 학생투표를 진행했으며, 이날 참석한 1600여 명의 학생 중 95% 이상이 반대표를 던졌다.

단국대학교 프라임 사업을 통한 구조개혁안자료제공: 단국대학교 프라임사업 대책위원회 '아구아'

그럼에도 학교는 ‘문과대와 경영대 인원을 40명 줄이고 공과대와 국제대의 인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프라임 사업 신청했다. 감축인원은 학생들과의 논의 이전의 25%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학교 측은 본질적인 문제인 ‘사업의 시행 여부’에 대해서는 ‘시행’하겠다는 견해를 유지했다. 이러한 학교 측의 결정에 대해 구예지 단국대 문과대 학생회장은 “학교 측이 이 사업의 시행 여부가 ‘대학구조개혁평가’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학교 측에서는 " ‘프라임 사업’을 신청하지 않았다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등급이 낮아지면 ‘장학금 수혜 중지’ 등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이된다" 고 설명했다.

단국대학교 문과대 학생회장 구예지 씨 (왼쪽), 총학생회 교육국장 겸 단국대학교 프라임사업 대책위원회장 김병열 씨 (오른쪽)

학문의 상아탑이 아닌 취업 전문기관으로 전락한 대학교단국대는 학생들과의 논의 끝에 ‘프라임사업(소형)’으로 신청한다. 계획안에 따르면 학과별로 평균 5명 감축에 들어가고 학과 통·폐합은 진행되지 않는다. 가시적인 큰 피해는 없지만, 구예지 문과대 학생회장은 “당장 학내 피해는 적지만 현재 프라임 사업이 제2, 제3의 프라임사업과 학내 구조조정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그 시작을 저지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전면반대’의 기조를 세운 것이다”고 강조했다. 현재 단국대학교 총학생회는 매주 수요일 ‘수요 문화제’를 통해 프라임 사업의 본질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참여율은 한없이 저조하다. 문화제에 참석하는 학생들이 채 100명이 되지 않는다. 그마저도 참여율이 낮아지는 추세라고 문과대 학생회장은 안타까워했다. 김병열 총학생회 교육국장은 “취업률이 낮은 이유를 사회가 학생들의 책임으로 돌리는 학교와 사회의 행태가 실망스럽다. 일자리를 더 공급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고 이들이 해야 하는 일인데, 이를 사회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연주 인턴기자 star@hankyung.com '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