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공채 대비 핵심 노트] 늘어나는 '직구족' 전자상거래 무역적자 심화

쇼핑엔 국경이 없다. 정보기술(IT)의 발달로 해외 직접구매(이하 직구)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지난해 해외 쇼핑사이트 직구는 15억 달러를 훌쩍 넘긴 반면 외국 소비자들이 국내 쇼핑사이트에 접속해 물건을 사는 ‘역(逆)직구’는 2808만 달러로서 미미한 수준이었다. ‘직구족’의 증가는 국부 유출과 내수 침체를 가져올 수 있지만, 질 좋은 제품을 더 싸게 구입하려는 소비자의 욕망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지난해 직구, 역직구의 55배 지난달 19일 관세청의 전자상거래 수출입동향 자료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이 지난해 해외로부터 직접 사들인 직구와 해외 소비자가 국내로부터 직접 구매한 역직구의 금액 차이는 15억1682만8000달러(1조6343억 원)에 이르렀다. 이를 건수·금액으로 살펴보면 목록통관을 포함해 지난해 해외직구는 1553만1000건(15억4491만5000달러), 역직구는 같은 기간 목록통관을 제외하고 10만5400건(2808만7000달러)을 기록했다. 직구 금액이 역직구의 무려 55배에 달하는 셈이다. 품목별로는 비타민 등 건강식품의 해외직구가 가장 많았고 핸드백ㆍ가방, 의류 및 신발류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자상거래 무역적자가 2010년의 5.6배로, 매년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예사롭지 않은 상황이다. 전 세계적인 전자상거래 증가에 대응해 우리나라가 온라인 무역에서의 균형을 되찾기 위해선 역직구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전자상거래를 ‘21세기 인터넷 라운드’로 명명하고 관련 무역 규범 등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아마존과 이베이뿐 아니라 유명 백화점들도 홈페이지에 한국어로 된 안내문까지 게재할 정도로 해외직구족 유치에 적극적이다. 미국은 2020년까지 B2C 전자상거래 비중을 27.3%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유럽연합(EU)은 전자상거래 이용자 비중을 7%에서 2020년까지 2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일본도 미국과 공동 프로젝트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천송이 코트’까지 언급하며 간편 결제시스템 도입을 강조했고 최근 정부의 액티브X 제거 방침도 나왔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에선 미국의 페이팔이나 중국 알리페이 같은 시스템이 탄생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사이트들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요구하는 것도 역직구 활성화의 걸림돌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손톱 밑 가시’같은 규제들을 해소해 해외 소비자들이 클릭 한번으로 쉽게 국내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지원체계를 가다듬어야 할 때다.
<용어 해설>▶ 목록통관물품에 대한 검사 없이 목록만 제출하면 서류상으로 통관절차를 간소하게 진행하는 것. 2007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당시 미국 측이 “200달러 이하 소액 특송화물은 비과세해달라”고 요구했고, 우리 정부는 이를 수용해 2012년 한·미 FTA가 발효되면서 시행됐다.
▶ B2C(business to consumer)기업이 제공하는 물품 및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거래 형태를 일컫는 말. 중간 단계의 거래가 제외되므로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으로 물품을 구입 할 수 있다.
▶ 액티브(Active)X윈도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익스플로러)을 이용하도록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기술. 국내 인터넷 사이트의 대다수가 액티브X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파이어폭스, 크롬 등 다른 웹 브라우저로는 정상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논란이 되어 왔다.
글 박상훈 기자

온라인에디터 jobnjoy@hankyung.com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