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잡 #2 변리사] 젊은 변리사들이 대기업으로 가는 까닭은?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지식재산권 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최근 지식재산권, IP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효자 IP 하나 있으면 평생 먹고 산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번 ‘99초 굿잡’에서는 IP권리를 지켜주는 변리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리사, 뭘 하는 직업일까 변리사의 업무는 크게 특허, 상표, 디자인, 실용신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지식재산권 ip를 특허청에 출원/등록을 대신해주고 문제 발생 시 고객을 대리해 법정에서 싸워주는 일입니다. 변리사, 뭘 준비해야할까 업계에서는 변리사 시험이 이공계의 고시라 불릴 정도로 어려운 시험입니다. 민법을 비롯해 자연과학,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 등을 공부해야 하고 해외 출원 등의 업무를 위해 영어도 필수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공부를 잘 해야 합니다. 변리사, 어떻게 하면 될 수 있을까우선 변리사 시험은 1년에 한 번, 상반기 1차, 하반기 2차로 치러집니다. 매년 200명 정도 합격하는데 최근 5년 간 합격률을 살펴보니 1차 약 20% 2차 18%정도로 경쟁률이 치열합니다. 합격까진 평균 2~3년 정도 걸리는데, 사짜 직업 중에서는 경쟁률이 그리 높지 않은 편입니다. 변리사 시험 합격하면 어디서 일할 수 있을까 보통 변리사 시험에 합격하면 예전에는 로펌이나 특허사무소로 취업을 많이 했는데, 요즘에는 대기업으로도 많이 가는 편입니다. 이유는 기업의 연봉이나 복지혜택이 좋아 젊은 변리사들이 선호하는 분위기고, 경력이 쌓이면 개업도 하는데 개업은 영업이 생명입니다. 일의 난이도는 어떨까 의사 변호사 와 같은 다른 사짜 직업에 비해 업무 난이도가 그
2022.10.06 11:26:04
-
아직까지 AI가 얼씬 못한 ‘사짜 직업’ [강홍민의 굿잡]
의사, 검사, 변호사···직업명 뒤에 ‘사’짜가 붙는 직업군을 마주하면 왠지 모를 부러움을 피할 수 없다. ‘사짜 직업’ 대부분이 전문직인데다 고수익·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히 그 직업군들은 학창시절 웬만큼 엉덩이 싸움에서 이겨본 사람들만이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그래서인지 시대가 변하고 신문물이 탄생해도 ‘사’짜 직업을 가진 이들을 마주할 때면 암묵적으로 그들의 노력을 인정해주는 분위기다.최근 ‘사짜 직업’ 중 주목받고 있는 직군이 있다. 바로 변리사다. 지식재산권(IP)의 가치와 권리를 다루는 변리사는 산업이 발전할수록 주목받는 직업군 중 하나다.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 출원된 특허는 226,759, 디자인 67,583, 상표, 257,933, 실용신안 4,981건으로 총 557,256건이다. 최근 5년 새 국내 출원 건수를 살펴보면 매년 늘어나는 수치다. 특히 상표의 경우 2010년 121,125건에서 2020년 257,933 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인구 2.5배인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도 국내 상표 출원 건수는 월등히 높다. 여기에 아이디어 하나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스타트업이 늘어나면서 지식재산을 다루는 변리사의 역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사짜 직업' 중에서도 알짜로 분류되는 변리사의 세계를 양한나(36) 강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대표 변리사를 만나 들어봤다. 변리사를 떠올리면 ‘특허’라는 단어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특허는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 건가요. “특허는 한마디로 내가 가진 기술을 보호하는 것인데요. 만약 누군가가 내 기술을 침해했을 때 개인으로선 보호하
2022.04.25 11:03:27